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중앙박물관

  • [중앙박물관 세계문화관] 이집트 문자와 예술

    고대 이집트인이 돌이나 나무 등에 새긴 상형 문자는 ‘신성 문자(神聖文字, Hieroglyph)’라 부른다. 이집트 신성문자는 기원전 약 4세기 프롤레마이오스 왕조까지 사용되었다. 이집트 신화에  따르면 이 문자를 발명한 이는 지식의 신 ‘토트(Thoth)’라고 한다. 최초의 상형 문자는 기원전 4000년 전 무렵 선왕조시대에 재화의 교환과 함께 발달하기 시작했던 것으로 보인다. 5세기 이후 수백 년이 지나면서 상형문자는 점차 사용되지 않아…

  • [중앙박물관 세계문화관] 이집트 부적과 샤브티

    이집트 부적이나 장신구들은 고대 이집트에서 장례절차와 그들이 생각한 사후세계을 표현한 문서인 ‘사자의 서’에 언급되어 있는 것이다.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되었던 신들이나 동물 등이 상징들이 다양하게 표현되어 있는데 미이라를 수호하고 내세에서도 삶을 계속 영위할 수 있게하는 주술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태양신을 상징하는 풍뎅이 모양의 스카라베, 호루스의 눈을 상징하는 미적으로 매우 뛰어난 ‘와제트의 눈’,  매모양의 가슴장식, 티예트 부적…

  • [중앙박물관 세계문화관] 죽음 뒤의 세계, 사자의 서

    피라미드와 미이라(The mummy)는 고대 이집트 사람들의 사후세계에 대한 생각을 잘 보여주는 흔적이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죽인이의 영혼이 시신에 머문다고 생각하여 시신을 보존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사막지역인 이집트의 지리적 특징과 함께 많은 미이라들이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장례절차와 사후세계를 기록한 문서인 ‘사자의 서(Book of dead)’, 시신을 모셨던 관과 껴묻거리 등에는 오시리스 신화를 비롯하여 당시 사람들의 사후세계에 대한 바램과…

  • [중앙박물관 세계문화관] 파라오와 이집트의 신들

    파라오(Pharaoh)는 고대 이집트에서 최고통치자인 왕을 의미한다. 본래는 이집트에서 왕이 사는 성스러운 장소를 칭하는 말이었으나 점차 왕을 칭하는 명칭으로 바뀌었다. 이집트에서 파라오는 오시리스신화 호루스의 현신으로 받아들여졌다. 오시리스는 사후세계를 다스리는 신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동생 세트에게 죽임을 당한 후 여신 이시스와 동생 네프티스의 도움으로 부활하였다. 오시리스와 이시스 사이에 태어난 신 호루스는 현세를 다스리는 신으로 여겨지며 파라오를 상징하고 있다. …

  • [중앙박물관 세계문화관] 이집트인의 삶, 일상생활

    이집트문명은 기원전 3천년 경 나일강 하구에서 시작되었다. 이집트는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 사막지역에 위치하고 있지만 적도 부근 빅토리아호수와 에디오피에서 우기에 내린 비가 흘러 내려오면 나일강은 범람하여 주변 토지를 비옥하게 하였다. 홍수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은 천문학, 수학, 토목기술 등을 발달시켰으며 상형문자는 이집트인들이 살았던 모습과 역사, 정신세계 등을 오늘날까지 생생하게 전해주고 있다.   나일강 주변의 늪지대는 이집트인들에게 중요한…

  • [중앙박물관 서화관] 행려풍속도, 김홍도가 바라본 세상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행려풍속도(行旅風俗圖)이다. 1778년 김홍도의 강희언의 집 담졸헌(澹拙軒)에서 그린 것으로 선비가 세상을 유람하면서 마주치는 풍경을 8폭의 그림으로 표현하고 있다. 대장관에서 쇠를 두드리는 장면과 주막에서 밥을 먹는 나그네의 모습, 강가에서 배를 기다리는 광경이, 포구에서 항아리와 광주리를 머리에 인 아낙, 들녁에서 목화 따는 아낙들을 바라보는 선비의 모습, 당나귀와 물새가 서로 놀라는 돌발적인 상황, 벼타작 풍경, 거리에서…

  • [중앙박물관 서화관] 신선을 만나다.

    신선도(神仙圖)는 신선들의 모습과 설화를 표현한 그림이다. 도교의 신선사상과 함께 발전하였다. 장수(長壽)와 무병(無病)과 같은 생에 대한 애착과 기복적인 바램을 위해 그려졌다. 그림에는 많은 신선들이 등장하지만 그중에 팔선(八仙)으로 불렸던 종리권, 여동빈, 장과로, 한상자, 이철괴, 조국구, 남채화, 하선고가 많이 그려졌으며 노자, 황초평, 마고선년, 하마선인, 동방삭, 서왕보, 장지화 등도 많이 보인다. 그림에 등창하는 신선들은 각자 관련된 설화에서 묘사된 모습으로…

  • [중앙박물관 서화관] 서화감상의 즐거움, 2021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2021년 <서화 감상의 즐거움>이라는 제목으로 작품을 구성하여 전시하였다. 서화(書畵)은 그림(회화)과 글씨(서예)를 총칭하는 말이다. 회화는 인간의 삶에서 창조의 결과물로 오래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풍부한 의미를 갖고 있다. 중국에서는 “그림 속에 시가 있고, 시 속에 그림이 있다”라고 하여 시와 그림은 불가분의 관계였다. 그림에는 작가의 감정과 사상이 담겨 있으며, 그런 그림을 통해 예술적인 소양이 길러진다. 서예는 문자의…

  • [중앙박물관특별전, 중국고대청동기] 청동기 문화의 시작

    고대 중국에서 지배층이 신분을 나타내거나 종묘와 궁궐 등에서 의식을 거행할 때 사용하는 도구를 예기(禮器)라 한다. 청동으로 만든 예기로는 곡식 등을 담는 그릇, 술잔, 솥 등이 있으며 신분에 따라 사용이 제한되었다. 중국 역사와 문화를 관통하는 종묘와 왕실 의식의 유물인 예기는 중국은 물론 한반도에서도 고대국가에서부터 조선시대를 거쳐 현대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의 청동예기는 기원전 20세기 하나라 때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