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고택
-
함양 개평마을, 하동정씨 고가
경남 함양군 지곡면 개평마을에 위치한 하동정씨고가 이다. 마을의 다른 저택들처럼 안채와 사랑채가 나란히 일렬로 배치되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지금은 안채만 원래 모습을 하고 있다. 안채 상량문에 1644년에 건물을 지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 마을의 대저택인 일두고택과 비슷한 시기에 사랑채를 당시 유행을 반영하여 새로 지었던 것으로 보인다. 함양의 대표적인 양반들의 세거지였던 개평마을의 명성에 걸맞게 이 집 주인은 성균관대…
-
함양 개평마을 일두고택, 정여창이 살았던 곳에 다시 지은 대저택
경남 함양군 지곡면 개평마을에 있는 일두고택이다. 이 집은 조선중기 유학자이자 문신인 일두 정여창이 살았던 터에 후손들이 다시 지은 집이다. 넓은 부지에 사랑채, 안사랑채, 안채, 아래채, 광채, 사당 등을 고루 갖추고 있는 집으로 이 지방을 대표하는 대저택이다. 안채는 약 300년 전에 다시 지었으며, 사랑채는 구한말에 지은 건물이다. ‘ㅁ’자형으로 폐쇄적이며 좁은 경북지역의 한옥과는 달리 ‘-‘자형으로 넓은 마당을 쓰고…
-
함양 개평마을, 풍천노씨 대종가
경남 함양군 지곡면 개평마을에 있는 풍천노씨 대종가이다. 이 집은 풍천노씨 입향조인 조선초 문신 노숙동이 처가인 이 마을에서 처음 자리잡은 곳이다. 안채와 사랑채가 일렬로 배치되어 개방적인 형태를 하고 있다. 건물은 앞면 4칸 규모이다. 건물의 구조 등으로 조선후기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며 당시 건축양식이 잘 남아 있다. 마을의 대종가이지만 저택의 규모나 형태가 소박하면서도 검소해 보인다. <함양 개평마을 풍천노씨…
-
함양 우명리 정씨 고가
경남 함양군 수동면 우명리에 있는 고택인 정씨 고가이다. 이곳은 인근 지곡면 개평마을에 세거지를 형성하고 있는 조선중기 학자이자 문신인 정여창의 후손이 분가하여 터를 잡고 살아온 지역이다. 아주 오래된 고택은 아니고 구한말이 1895년에 지어진 집이라고 한다. 건물은 안채, 사랑채, 대문채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ㅁ’자형을 폐쇄적인 구조를 하고 있는 경북지방이나 한양의 한옥과는 달리 담장으로 안채와 사랑채 영역을 구분하기는…
-
구례 운조루(雲鳥樓), 호남을 대표하는 대저택
전남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에 위치한 운조루(雲鳥樓)이다. 호남지방을 대표하는 대저택으로 55칸 규모이다. 온화한 기후의 구례 지역 지리적 특징을 반영했다기보다는 ‘ㅁ’자형 안채를 두고 있는 안동지방 대저택의 영향을 받은 구조를 하고 있다. 사랑채, 안채, 행랑채,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오른쪽에 안채, 왼쪽에 사랑채가 배치되어 있고, 앞쪽에 행랑채가 있다. 사랑채는 ‘T’자형을 하고 있는데 왼쪽 끝에 누마루를 두고 있다. 또한 안채쪽에…
-
강릉 심상진가옥, 경포호수에 자리잡은 고택
강원도 강릉시 운정길에 있는 고택인 심상진 가옥이다. 오축헌에서 경포대로 들어가는 길에 경포호수와 가까운 낮은 언덕 아래에 초당두부를 파는 식당,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인 해운정(보물183호)과 나란히 자리잡고 있다. 건물 내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건물 형태 등으로 볼 때 안채는 350여년, 사랑채는 250여년 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부근에 있는 오죽헌이나 선교장과는 달리 서울이나 경북지역의 한옥처럼 ‘ㅁ’자형 주택형태를…
-
강릉 허난설헌 생가터
강원도 강릉시 초당동에 허균.허난설헌 기념공원에 있는 생가이다. 이곳은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여류시인 허난설헌이 태어나서 자란곳이다. 건물은 본채와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는 ‘ㅁ’자형 구조를 하고 있지만, 전통적인 ‘ㅁ’자형 주택과는 달리 폐쇄적이지 않고 개방적인 중부지방 양반가옥 형태를 하고 있다. 사랑채는 앞면 4칸, 옆면 2칸반 규모이며, 마당 방향으로 걸터 앉을 수 있는 툇마루를 두고 있다. 관동팔경 유람을 떠났던 유력인사들을 접대해야 했던…
-
강릉 오죽헌(烏竹軒, 보물)
강원도 강릉시 율곡로에 남아 있는 조선중기 고택인 오죽헌(烏竹軒, 보물)이다. 신사임당과 율곡 이이가 태어난 유서깊은 곳으로 개인이 살았던 저택 중 가장 잘 알려진 곳이기도 하다. 오죽헌은 이 집의 별당 건물로 조선초기 문신이었던 최치운(1390~1440년)이 처음 지었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의 이 건물을 간결하면서 단정한 느낌을 주고 있다. 앞면 3칸 중 2칸은 넓은 대청마루, 1칸은 온돌방으로 되어…
-
안동 예안이씨 상리종택, 2009년
경북 안동 풍산읍 상리에 위치한 예안이씨 상리종택이다. 예안이씨 7세손 이훈의 종택으로 중종대에 처음 지어졌다. 건물은 안채와 사랑채로 이루어진 ‘ㅁ’자형 본채만 남아 있다. 안채는 앞면 7칸 규모로 가운데 넓은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양쪽에 방과 부엌 등이 배치되어 있다. 사랑채는 중문을 중심으로 왼쪽편에 3칸 규모로 있으며, 중문 오른쪽 끝편에도 작은 사랑방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안동 예안이씨 상리종택> 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