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한옥

  • 홍성 전용일 가옥, 99칸 대저택

    충남 홍성군 갈산면 상촌리 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인 전용일 가옥이다. 마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대저택이다. 19세기 후반에 지어진 대저택으로 원래는 99칸 규모였는데 지금은 28칸 규모의 안채만 남아 있다. 안채는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온돌방과 부엌이 있는 날개채가 양쪽에 연결되어 중문채와 함께 폐쇄적인 ‘ㅁ’자형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안채 주변에는 텃밭으로 사용하고 있는 넓은 공간이 있는데 사랑채, 행랑채 등…

  • 홍성 김우열 가옥, 19세기 후반에 지어진 지주계층 저택

    충남 홍성군 갈산면 상촌리에 있는 김우열 가옥이다. 건물은 앞쪽에 중문이 있는 ‘-‘자형 사랑채를 두고 뒷편에 ‘ㄱ’자형 안채와 헛간채가 두어 전체적으로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사랑채는 대문과 문간채가 합쳐져서 앞면 6칸 규모를 하고 있는데, 마당쪽으로 툇마루를 두고 있다. 안채는 가운데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안방과 건넌방, 부엌을 배치하였으며, 툇마루를 두어 통로로 이용하고 있다. 19세기 후반에 지어진 집으로 당시 한양에서…

  • 홍성 김좌진 장군 생가터

    충남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에 있는 김좌진 장군 생가터이다. 생가터에는 그가 살았던 옛 고택이 복원되어 있으며 기념관과 함께 작은 기념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복원된 생가는 문간채, 본채, 광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입문 옆에 있는 문간채는 바깥쪽에 걸터 앉을 수 있는 작은 툇마무가 있는 형태로 손님을 맞는 사랭채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본채는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안쪽에는 가족들의 생활공간으로, 누마루…

  • 홍성 만해 한용운 생가터

    충남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에 있는 만해 한용운 선생이 태어난 생가터이다. 선생이 태어난 생가터에는 살았던 작은 초가집이 복원되어 있다. 선생이 태어나 살던집은 당시 농민들이 살았던 방2개와 부엌이 있는 전형적인 초가삼간 주택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생가터 옆에는 그를 기리는 사당과 기념관 건물이 세워져 있다. 한용운은 3.1독립운동과 시집 “님의 침묵”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로 넘어오는…

  • 아산 외암마을, 중부지방을 대표하는 전통마을

    충남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에 있는 전통마을인 외암(外岩)마을이다. 마을은 관아가 있던 온주 읍치에서 남쪽으로 4 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남쪽으로 차령산맥이라는 큰 산줄기가 지나가고 있으며, 북서쪽으로는 아산만을 중심으로 내포평야가 펼쳐져 있다. 마을은 설화산(440 m) 남쪽 구릉지에 자리잡고 있어 물이 비교적 풍부하고 일조량이 많은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다. . 마을 입구에는 제법 큰 하천이 흐르고 있으며,…

  • 아산 외암마을, 감찰댁

    충남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외암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인 감찰댁이다. 구한말 관리를 지낸 인물이 살던 집으로 비교적 큰 규모의 저택이다. 건물은 ‘ㄱ’자형 안채와 ‘ㄴ’자형 사랑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는 개방적인 중부지방 대저택의 건물배치를 하고 있다. 구한말에 지어진 한옥으로 보이며, 사랑채와 문간채는 최근에 복원한 것이라 한다. 마을에 있는 다른 대저택과 마찬가지로 사랑채 앞에는 정원을 조성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지금은…

  • 아산 외암마을, 교수댁

    충남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외암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인 교수댁이다. 이 저택은 구한말 관찰사 등을 역임한 고위 관료의 대저택으로 마을 종택에 해당하는 건재고택 뒷편에 위치하고 있다. 건물은 ‘ㄱ’자형 안채와 ‘ㄴ’자형 사랑채가 합쳐져 ‘ㅁ’자형 구조를 하고 있는데 건물규모가 상당히 큰 편이다. 사랑채 앞 마당에는 개울에서 물을 끌어들여 인공적으로 정원을 조성하였는데, 다양한 수목을 심고 연못을 조성하는 등 인공적인…

  • 아산 외암마을, 건재고택

    충남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외암마을에 있는 건재고택이다. 마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저택으로 외암이 출생한 집이라고 한다. 건물은 앞쪽에 사랑채가, 뒷쪽에 안채가 배치되어 있으며, 여러동의 곳간채와 가묘, 문간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 앞 마당에는 계곡에서 물을 끌어들이고 다양한 나무를 심어 아름다운 정원을 꾸며놓고 있다. 현재의 건물들은 18세기 말에 지은 것이라 한다. 외암마을은 관아가 있던 온주 읍치에서…

  • 아산 외암마을, 외암 종손댁

    충남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외암마을에 있는 고택인 송화댁이다. 조선후기 학자 외암 이간의 종손이 살고 있는 종갓집이다. 마을을 대표하는 종갓집이기는 하지만 그 규모가 크지 않고 건물도 ‘ㄱ’자형 안채만 남아 있다. 종갓집 답게 불천위로 제수된 외암 선생의 사당이 안채 옆에 있다. 건물 배치 등으로 볼 때 사랑채와 부속 건물 등은 없어지고 골목길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외암마을은 관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