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보물

  • 백자 상감투각모란문 병(보물)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상감투각모란문 병 (白磁 象嵌透刻牡丹文 甁, 보물)”이다.  조선 전기 15세기에 제작된 높이 36.2cm의 백자병이다. 당시 백자병의 전형적인 형태와 장식소재, 유약 색깔, 굽의 특징을 갖추고 있다. 투각과 상감기법을 같이 사용한 독특한 작품이다. 투각이 된 바깥면과 그 안쪽에 실제로 내용물을 담는 병은 따로 제작한 것이다. <백자상감투각 모란문 병, 조선 15세기, 개인…

  • 백자 철화매죽문 항아리(보물)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철화매죽문 항아리 (白磁 鐵畵梅竹文 立壺, 보물)”이다. 17세기에 제작된 백자 항아리이다. 풍만한 몸체에 매화와 대나무를 철화안료로 그려 넣었다. 종이 위에 먹으로 그린듯 대담한 필치로 속도감과 생동감 있게 그려진 문양이 특징이다. 17세기 청화안료의 수급이 어려워져 철화안료를 이용한 시대적 상황과 이를 타개하는 창의적인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백자철화 매죽문 호, 조선…

  • 백자 청화철화 ‘시’ 명나비문 팔각연적(보물)

    서울 관악구 호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철화 ‘시’ 명나비문 팔각연적 (白磁 靑畵鐵畵‘詩’銘蝶文 八角硯滴, 보물)”이다. 조선후기 18세기에 만들어진 팔각 기동 모양의 백자 연적이다. 윗면 가운데 구멍을 뚫었으며 옆면 모서리에 주구(注口)를 붙였다. 윗편에는 청화와 철화기법을 사용하여 나비를 그렸으며 옆면에 칠언절구(七言絶句)를 적었다. 칠언절구의 시가 문양, 형태와 잘 어루러져 조형미를 만들어 내고 있다. <백자청화철화 시명 나비문 팔각연적, 조선 18세기,…

  • 백자 청화보상당초문 항아리(보물)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보상당초문 항아리 (白磁 靑畵寶相唐草文 壺, 보물)”이다. 어깨가 넓고 아래로 내려가면서 좁아지는 조선 전기 백자 항아리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청화발색은 고르지 않으나, 몸통에는 보상당초문이 힘차고 운동감 있게 그려졌다. 명나라 청화백자의 문양과 구성을 따르고 있으나 역동감 있는 문양배치 등은 조선만의 표현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백자청화 보상화당초문 호, 조선 16세기, 개인 소장,…

  • 백자 청화잉어문 항아리(보물)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잉어문 항아리 (白磁 靑畵鯉魚文 立壺, 보물)”이다. 높이 24.7cm의 청화백자 항아리이다. 조선전기 백자 항아리의 일반적인 형태를 하고 있다. 몸통에는 꽃으로 마름모꼴 둘레를 만들고 그 안에 물고기를 그려 넣었다. 청화안료의 농담을 적절히 조절하여 회화적인 느낌을 더해주고 있다. 경기도 광주 일대 가마에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백자청화 군어문 호, 조선 15세기, 개인…

  • 백자 청화 ‘망우대’명 초충문 접시(보물)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 ‘망우대’명 초충문 접시 (白磁 靑畵 ‘忘憂臺‘銘 草蟲文 楪匙, 보물)”이다. 높이 1.9cm, 아가리 지름 16cm의 청화백자 전접시이다. 가운데에 작은 원이 얕게 패여 있으며 ‘망우대(忘憂臺)’라는 글씨가 적혀 있다. 그 둘레에는 들국화 2송이와 날아드는 벌을 그려 놓았다. 순백색의 백토에 담청색을 머금은 백자유가 고르게 시유되어 있다. 이 전접시와 함께 백자 잔이…

  • 백자 청화초화문 필통(보물)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초화문 필통 (白磁 靑畵草花文 筆筒, 보물)”이다. 높이 16cm의 청화백자 필통이다. 입부분과 바닥부분이 약간 벌어진 원통형 몸체를 가진 필통으로 종이를 담아두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몸통에는 세곳에 활짝 핀 난초를 그려 놓았다. 간결하면서도 세련된 느낌을 주고 있는 작품으로 18세기 전반 경기도 광주지역 가마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백자청화 난초문 필통, 조선 18세기,…

  • 백자 청화운룡문 병(1984-2, 보물)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운룡문 병(白磁 靑畵雲龍文 甁, 1984-2, 보물)”이다. 높이 21.5cm의 백자 병이다. 조선시대 왕실 연회에 술병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구름속에서 여의주를 잡으려는 용의 살아서 움직이는 듯한 꿈틀거림과 눈에서 보이는 기운이 돋보인다. 조선초기 경기도 광주 관요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백자청화 운룡문 병, 조선 16세기, 개인 소장, 보물> <옆면> <옆면> <출처>…

  • 백자 청화운룡문 병(1984-1, 보물)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운룡문 병(白磁 靑畵雲龍文 甁, 1984-1, 보물)”이다. 높이 25.0cm의 병으로 조선시대 궁중 연회에 술병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구름속에서 3개의 발톱을 세우고 여의주를 잡으려는 용을 그렸다. 조선후기 작품에서 볼 수 있는 운용문에 비해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16세기 전반 작품으로 추정되며 광주 관요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왕소의 권위와 위엄, 용이 그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