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명승
-
봉화 청량산(명승)
경북 봉화군 명호면 등에 있는 청량산(淸凉山, 명승)이다. 최고봉은 장인봉(해발 870m)이며, 800m 내외의 12개 암봉이 있다. 청량산은 중생대 백악기에 퇴적된 암석들이 오랜세월 융기, 풍화, 차별침식 등을 거치면서 다양한 지형을 만들고 있다. 이중환의 <택리지>에 백두대간을 벗어난 4대 명산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 고려 공민왕이 피난와서 머물렀던 흔적, 원효, 의상, 김생, 이황 등 역사적 인물과 관련된 장소 등이 많이…
-
봉화 닭실마을 석천계곡(명승)과 석천정
경북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에 있는 석천계곡(명승)과 석천정(石泉亭)이다. 석천계곡은 닭실마을 북쪽을 흐르는 동막천과 마을 앞을 흐르는 창평천이 마을 서쪽에서 합류하여 작은 협곡을 이루면서 흐르는 곳이다. 수량이 풍부하며 기암괴석이 있는 좁은 계곡으로 맑은 개울물이 흐로고 있어 조용하면서도 풍치가 아름다운 곳이다. 이곳에는 권벌의 아들 권동보가 지은 정자 건물인 석천정이 있다. <봉화 닭실마을 석천계곡(명승)> 석천정은 닭실마을 종가인 청암정에서 800m…
-
봉화 닭실마을 청암정(靑巖亭, 명승)
경북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에 있는 청암정(靑巖亭, 명승)이다. 조선중기 문신 권벌이 살았던 종가 옆에 위치하고 있다. 정자는 거북모양 바위에 위에 세워졌는데 주변에는 물이 흐르며 그 바깥으로 울창한 나무울타리가 있다. 퇴계 이황을 비롯하여 당대 학자들이 방문하여 학문을 교류했던 곳으로 관련된 많은 유물들이 전해오고 있다. 정자 앞에는 권벌이 공부를 했던 별채 건물인 충재(冲齋)가 있다. 규모는 크지 않지만 정자,…
-
영월 어라연 일원(명승), 탐방로 입구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에 있는 동강 어라연 일원(魚羅淵, 명승)이다. 남한강 중상류에 해당하는 영월 동강 어라연 지역은 다항한 하천지형을 볼 수 있는 곳이다. 감입곡류, 수직절벽과 협곡, 옛 물길, 소, 여울, 급류등의 지형과 하천, 암반, 산림지대 등 다양한 경관을 체험할 수 있는 명소이다. 식생경관이 다양하고 복잡하게 형성되어있으며 어름치, 수달, 황조롱이, 원앙 등 천연기념물을 비롯하다 다양한 야생동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
울진 불영사계곡(명승)
경북 울진군 근남면과 금강송면에 있는 불영사계곡(명승)이다. 울진군 통고산 북쪽에 위치한 불영사계곡은 계곡물이 동쪽으로 흐르다가 왕피천과 만나 동해로 들어가는 아름다운 계곡이다. 계곡에는 여러가지 모양의 바위와 절벽등이 많은데 사랑바위와 부처바위가 대표적인 예이다. 이곳에는 다양한 동물과 식물들이 서식하고 있어 생태의 보고라 할 수 있다. 신라 진덕여왕 시대에 창건된 불영사가 있어 ‘불영사 계곡’이라 불린다. <울진 불영사 계곡(명승)> 울진과 봉화를 연결하는 옛…
-
삼척 죽서루와 오십천(명승), 관동팔경으로 손꼽혔던 명소
강원도 삼척시 성내동에 있는 죽서루와 오십천(명승)이다. 조선시대 강원도 동해안 명승지로 손꼽혔던 관동팔경 중 하나로 정철의 <관동별곡>, 허목의 <죽서루기> 등에 소개되어 있다. 백두대간 백병산에서 발원하여 동해안으로 흘러드는 오십천 하류에 자리잡고 있다. 죽서루에서 내려다 보이는 오십천과 강건너에서 보이는 죽서루와 절벽의 경치가 빼어나다. 고려말 이승휴가 누각에 올라 시를 지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볼 때 그 이전부터 누각이…
-
예천 회룡포 (명승), 내성천이 휘감아 돌아가면서 만든 경치
경북 예천군 용궁면 대은리에 있는 회룡포(명승)이다. 낙동강 지류인 내성천이 휘감아 돌면서 용의 형상을 만들고 있다고 하여 회룡포라 부른다. 낙동강 상류지역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감입곡류 지형 중 그 경치가 가장 빼어난 곳으로 손꼽이다. 내성천이 휘감아 돌면서 형성된 마을은 마치 섬과 같으며 강물이 맑고 수량이 풍부하며 넓은 백사장을 자랑한다. 회룡포 마을의 모습은 건너편 비룡산(240 m) 정상부…
-
문경 토끼비리(명승), 영남대로 옛길
경북 문경시 마성면 신현리에 있는 옛길인 토끼비리(명승)이다. 영남대로 관문성인 석현성 남문에서 영강을 옆을 따라 이어지는 약 500 m 정도의 길을 말한다. 옛 영남대로 중 가장 험한 길로 알려져 있는데, 영강이 조령천과 합류하는 곳에서 부터 협곡을 형성하면서 흐르면서 생긴 벼랑에 형성된 길이다. 한사람 정도 지나갈 수 있는 좁은 길로 경사면에 축대를 쌓거나 큰 바위를 깨어서 좁은…
-
문경 문경새재(명승), 영남과 서울을 연결하는 백두대간 고갯길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에 있는 문경새재(명승)이다. 경북 문경시 문경읍과 충북 괴산군 연풍면 사이에 있는 고개인 조령(해발 642 m)을 넘는 고갯길로 영남지방에서 한양으로 연결되는 주요 교통로였다. 옛 문헌에는 초점(草岾), ‘조령(鳥嶺)’으로 기록되어 있다. 삼국시대 이래 인근 하늘재 고개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고려 이후 문경새재길이 개통되면서 이 길이 주로 사용되었다. 임진왜란 때 왜군이 문경새재를 넘어오면서 군사적 중요성이 인식되어 조선후기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