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한옥
-
구례 방호정, 산수유마을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정자
전남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에 위치한 정자인 방호정(方壺亭)이다. 일제강점기에 지역 사람들이 시모임을 위해 지은 건물이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1칸 규모이며, 가운데 온돌방을, 양쪽에 마루를 두고 있는 전형적인 정자의 모습을 하고 있다. 마을과 개천이 내려다 보이는 경치좋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 <구례 방호정> 산수유마을이 있는 지리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작은 정자이다. <정자 아래 산책길> <출입문> <방호정> 정자는…
-
구례 운흥정(雲興亭), 시모임을 위해 경치좋은 하천에 세운 정자
전남 구례군 산동면 시상리에 있는 작은 정자인 운흥정(雲興亭)이다. 정자는 온돌방을 가운데 두고, 양쪽에 마루가 있는 전형적인 정자의 모습을 하고 있다. 내력이 오래된 것은 아니고 일제강점기에 지역 선비들이 친목을 도모하기 조직한 시사계(詩社契)에서 경치가 좋은 하천가에 세운 정자이다. 정자 마루에는 계모임 활동 등을 보여주는 글들이 마루에 걸려 있다. <구례 운흥정> 일제강점기에 지역 인사들이 시모임을 위해 경치좋은 곳에…
-
구례 운조루(雲鳥樓), 호남을 대표하는 대저택
전남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에 위치한 운조루(雲鳥樓)이다. 호남지방을 대표하는 대저택으로 55칸 규모이다. 온화한 기후의 구례 지역 지리적 특징을 반영했다기보다는 ‘ㅁ’자형 안채를 두고 있는 안동지방 대저택의 영향을 받은 구조를 하고 있다. 사랑채, 안채, 행랑채,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오른쪽에 안채, 왼쪽에 사랑채가 배치되어 있고, 앞쪽에 행랑채가 있다. 사랑채는 ‘T’자형을 하고 있는데 왼쪽 끝에 누마루를 두고 있다. 또한 안채쪽에…
-
경주 이요당, 서출지 연못 한쪽에 지은 작은 정자
경북 경주시 남산동에 위치한 작은 정자인 이요당(二樂堂)이다. 이 정자는 『삼국유사』에 그 리록이 남아 있는 오래된 연못인 서출지(사적138호) 안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정자는 조선 후기에 처음 지어진 건물로 그 후 여러 차례 중수를 거치면서 누마루가 있는 전형적인 조선후기 사랑채 건물 형태를 하고 있다. 건물은 앞면 4칸, 옆면 2칸에 누마루가 있는 ‘ㄱ’자형 구조를 하고 있다. 건물규모는 크지…
-
강릉 방해정(放海亭), 경포호수가 별장으로 지어진 곳
강원도 강릉시 경포로에 위치한 방해정(放海亭)이다. 이곳은 경치가 아름다워 누각과 정자가 많이 세워져 있는 경포호수가에서도 바다가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다. 강릉지방에서 성행하고 있는 계모임을 위해 세워진 다른 정자와 달리 오늘날 부호들의 별장과 비슷한 성격을 갖는 곳이다. 부근에 있는 99칸 대저택인 선교장의 별장으로 구한말 군수를 지낸 이봉구라는 사람이 말년을 보내기 위해서 지었다. 방해정은 정자처럼 집이름을 지어 놓기는…
-
강릉 경호정, 강릉지방 계모임문화를 보여주는 작은 정자.
강원도 강릉시 경포로에 위치한 경호정(鏡湖亭)이다. 경포해수욕장 가는 길 언덕에 위치한 3개의 정자 중에 서쪽편에 자리잡고 있다. 다른 정자와 마찬가지로 강릉지방 계모임문화를 잘 보여주는 곳이다. 비교적 늦인 시기인 1927년에 세워졌는데, 앞면 2칸의 크지 않은 정자 건물과 숙식을 할 수 있도록 온돌방을 두고 있는 별채로 구성되어 있다. <강릉 경호정> <경호정> 경호정은 앞면 2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
강릉 상영정, 강릉지방 계모임문화를 보여주는 경포호수가 정자
강원도 강릉시 경포로에 위치한 작은 정자인 상영정(觴詠亭). 경포호수를 내려다 보이는 작은 언덕 위에 세원 정자이다. 이 정자는 구한말에 강릉지역 유지들이 결성한 계모임인 상영계가 세운 정자이다. 다른 곳에 있던 것을 1968년에 현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건물 앞면 3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일반 살림집 사랑채처럼 마루와 온돌방을 두고 있다. 주위에 있는 경호정,금란정에 보다 높은 지대에 위치하고 있어…
-
강릉 금란정, 강릉지방 계모임문화를 보여주는 경포호수가 정자.
강원도 강릉시 경포로에 위치한 작은 정자인 금란정(金蘭亭)이다. 이 정자는 조선후기에 지으진 것으로 경포호수가 내려다 언덕 아래에 경호정, 상영정과 함께 나란히 자리잡고 있다. 구한말 건축양식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누마루를 두고 있는 건물로 뒷쪽을 제외하고 3면에 문을 두고 있다. 여름에 문을 열면 시원한 바닷바람을 즐길 수 있으며, 숙식을 할 수 있는 방과 누마루가 같이 있어서 오늘날…
-
강릉 활래정, 궁궐 후원을 연상시키는 선교장 별당
강원도 강릉시 운정길에 위치한 정자인 활래정(活來亭)이다. 활래정은 강릉 지역에서 가장 큰 99칸의 대저택인 선교장 입구에 있는 연못가에 세워진 화려한 누각형식의 정자이다. 활래정은 선교장 사랑채인 열화당이 지어진 다음해(1816년)에 이후가 처음 지었으며, 현재의 건물은 1906년에 중건하였다. 건물은 겹처마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궁궐 후원에서 볼 수 있는 물위에 떠 있는 누마루를 두고 있다. 내부는 온돌방과 대청마루를 두고 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