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물
-
지장시왕도(2018, 보물), 지장보살과 10명의 왕
서울시 관악구 호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지장시왕도(2018)>(보물)이다. 지장보살과 열 명의 왕, 여섯 보살, 권속을 그린 불화이다. 본존지장보살은 머리를 깎은 비구의 모습이며, 높은 사각 대좌에 앉아 한쪽 다리를 내리고 있다. 그림에 적혀 있는 기록에 따르면 1580년에 조성된것으로 추정된다. 인울과 각종 의장물의 세부 표현이 뛰어나고 색감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실력있는 화원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만력萬暦 경진庚辰년(1580) 4월에…
-
경주 기림사 건칠보살반가상(보물), 사대부가 발원한 불상
경주시 양북면 기림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경주 기림사 건칠보살반가상>(보물)이다. 둥글고 풍만한 얼굴에 단아한 이목구비로 보살상의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다. 천의를 걸치고 세 줄의 목걸이와 독특한 띠매듭 등 조선시대 불상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반가좌 자세와 대좌를 짚은 왼손 등으로 보아 관음보살로 추정되며, 당당한 체구에 비해 손발이 작아 비례감은 다소 떨어진다. 흙으로 만든 상 위에 삼베를 겹겹이 씌우고…
-
약사여래삼존도(보물), 회암사 중장을 기념하는 400점의 부처 그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회암사’명 약사여래삼존도>(보물)이다. 1565년, 문정왕후가 명종의 만수무강과 왕실 후손의 탄생을 기원하며 회암사 낙성에 맞춰 조성한 400점의 불화 중 하나이다. 약사여래를 중심으로 좌우에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을 배치한 간략한 형식이다. 적갈색 비단 바탕에 금니로 그려 매우 화려하다. 당대 최고 기량을 지닌 궁궁화원들이 제작한 것으로 품위와 섬세한 필력을 보여준다. 당시 제작된 400점 중 국내에는 이 작품만 남아…
-
순천 매곡동 삼층석탑 출토 청동불감과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보물)
국립광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순천 매곡동 석탑 청동불감 및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보물)이다. 전남 순천시 매곡동 절터 석탑에서 발견되었다.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협시불로 배치된 조선전기 아마타삼존상의 특징을 잘 부여주고 있다. 불감은 임의로 수리되어 원래의 모습은 아니나 불상을 안치하면 규격에 잘 맞고 전각형태의 불감이라는 당시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발원문을 통해 제작연대가 확인되었으며 당시 불교문화를 보여주는 유물로 의미가 있다. 매곡동 삼층석탑 출토…
-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삼존불좌상(보물), 무량사 탑에서 발견된 부처와 보살
서울 불교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상>(보물)이다. 충남 부여군에 있는 무량사 오층석탑(보물)을 해체 수리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총 4구의 불상으로 1구는 고려시대 금동보살좌상이며, 3구는 조선시대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이다. 가운데 아미타여래를 주존으로 하고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을 협시보살로 배치하고 있다. 아미타여래삼존상은 고려 말 조선 초 유행한 관음과 지장으로 구성된 아미타여래삼존 도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부여 무량사는 조선 세조때 생육신인 매월당…
-
심곡사 칠층석탑 출토 청동불감과 금동불상 (보물)
전북 익산시 낭산면 심곡사에 있는 칠층석탑에서 출토된 금동불감과 금동아미타여래칠존좌상(보물)이디. 석탑의 해체 수리 과정에서 불감 안에 있는 7구의 불상 발견되었다. 불감은 밑판, 측면판, 뒤판, 뚜껑을 각각 한 판으로 만들고, 문비만 두 판으로 구성하였다. 타출기법으로 아미타여래설법도와 금강역사가 표현되어 있다. 7구의 불상은 앞쪽에 아마타여래, 관음보살, 대세지보살상이, 뒷편에 2구의 여래와 관음보살, 지장보살이 있었다. 중국 원.명 대에 크게 유행한 라마불상…
-
초서(보물), 조선으로 전래된 명나라 초서 병풍
경북 봉화군 봉화읍 충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권벌 종가 유묵>(보물) 중 장필진묵이다. 중국 명나라 서예가 장필이 직접 쓴 글씨라 권벌이 사신으로 갔을 때 북경에서 구입한 것이다. 16세기 조선의 초서에 큰 영향을 준 작품이다. 초서 草書, 장필, 중국 명 15세기, 종이에 먹, 보물16세기 전반, 중국 명나라 서예가 장필의 글씨가 조선에 전해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귀한 초서 작품입니다. 이…
-
초서(보물), 황기로가 초서로 쓴 이군옥 시
강원도 강릉 오죽헌시립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황기로 초서 – 이군옥시>(보물)이다. 고산 황기로黃耆老(1525~1575)가 당나라 이군옥의 오언율시를 쓴 것이다. 이 초서는 회소와 장필을 배워 활달하고 운동세가 많은 획법과 변화로운 짜임을 잘 구사한 예이다. 단순한 흘림체를 넘어 움직임과 여백이 조화를 이루는 초서의 멋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초서 草書, 황기로, 조선 16세기 후반, 종이에 먹, 보물16세기를 대표하는 초서 명필…
-
초서(보물), 황기로가 초서로 쓴 차운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황기로 초서 – 차운시>(보물)이다. 고산 황기로黃耆老(1525~1575)가 다른 사람의 시를 차운次韻하여 짓고 쓴 초서이다. 황기로의 글씨 중에서는 중간 크기로 획이 깔끔하고 구성도 단정하다. 황기로의 글씨의 진면목을 접할 수 있는 작품이라고 한다. 초서 草書, 황기로, 조선 16세기 후반, 종이에 먹, 보물고산孤山 황기로가 다른 사람의 시를 감상한 뒤, 그 운韻에 따라 지은 시를 초서로 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