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물
-
합천 월광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경남 합천군 야로면 월광리 월광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동.서삼층석탑(보물)이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놓은 높이 5.5 m의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과 탑신 몸돌에 기둥모양을 새긴 것 외 특별한 장식은 없다. 2기의 탑 모두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지만 약간 다른 양식을 보이고 있어 조성연대가 다를 것으로 추청되고 있다. 몸돌에 비해 아래층 기단이 약간 크다는 느낌을…
-
합천 영암사지 귀부(보물), 비석을 올렸던 거북받침돌
경남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영암사지(사적)에 있는 거북받침돌(보물)이다. 절터 뒷편 건물터 양쪽에 2기가 남아 있다. 비석을 올렸던 받침돌로 비석과 머릿돌을 남아 있지 않다. 동쪽에 있는 거북받침돌은 등무늬가 육각형이며 비석을 올렸던 비좌 주위에 구름무늬를 새겼다. 얼굴을 용머리처러머 생겼으며 여의주를 물고 있다. 조각수법이 우수하며 생동감있게 표현하고 있다. 서쪽에 있는 것도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는데 조각수법이나 표현이 약간 떨어지는…
-
합천 영암사지 쌍사자석등(보물),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석등
경남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영암사지(사적) 절터에 남아 있는 쌍사자석등(보물)이다. 통일신라 때 만들어진 석등으로 금당터 앞 석축 위에 세워져 있다. 석등은 8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데 2마리의 사자가 불을 밝히는 화사석을 받치는 형상을 하고 있다. 2마리의 사자가 가슴을 맞대고 마주선 모습인데 갈기와 꼬리, 근유 등을 사실적을 표현하고 있다. 불을 밝히는 화사석은 4면에 창을 두고 4면에는 사천왕상을 새겨…
-
합천 영암사지 삼층석탑(보물)
경남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영암사지(사적)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높이 3.8 m의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은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모양을 새겼으며, 탑신 몸돌에도 기둥모양을 새겼다. 위층 기단과 1층 몸돌이 약간 높은편이나 전체적인 비례는 양호한 편이다. 영암사지는 합천군 황매산 남쪽 자락에 있는 통일신라 절터이다. 창건연대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으나 고려…
-
[중앙박물관특별전, 미술 속 도시]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
이번 전시에는 우리나라 회화를 대표하는 장르 중 하나인 풍속화를 대표하는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의 작품이 전시되었다. 정조 때 활동했던 김홍도는 풍속화뿐 아니라 산수화를 비롯하여 거의 모든 장르의 그림을 그렸던 화가로 그의 작품 《단원풍속도첩》에는 당시 서민들이 살았던 모습을 생생하면서도 해악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반면에 풍속화를 잘 그렸던 신윤복은 《미인도》, 《혜원전신첩》 등에서 당시 상류사회 사람들의 풍류와 세련된 도시적인…
-
부산 범어사 대웅전, 2011년
부산시 금정구 청룡동에 범어사 주불전인 대웅전(보물)이다.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을 모시고 있는 불전이다. 현재의 건물을 조선후기 숙종 때 크게 중창하였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3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기둥 위의 장식과 처마의 구조가 섬세하고, 화려하지 않지만 섬세한 문살을 두고 있다. 건물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화려하면서도 중후한 느낌을 주고 있다. 부산 금정산 중턱에…
-
부산 범어사 조계문, 2011년
부산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 조계문(曹溪門, 보물)이다. 임진왜란 이후 범어사가 중창될때 건립된 것으로 보이며, 1781년(정조 5)에 크게 수리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화강석을 다듬은 높은 돌기둥 위에 짧은 목재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지붕을 올려 놓았다.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으며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사찰 일주문 중에서는 건축물로서 짜임새가 있으며 조형적인 면에서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아 보물로 지정되었다. 부산…
-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보물), 중로전 영역 중심 불전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경내에 있는 대광명전이다. 비로자나여래를 모시는 불전으로 중로전 영역에 있는 3개의 불전 중 뒷편에 위치하고 있다. 건물은 조선후기 영조 때 중건한 것으로 앞면 5칸 규모,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상당히 큰 규모이다. 가운데 출입문은 3분합문이며, 나머지는 2분합문이다. 또한 가운데 기둥에서 용머리를 조각해 놓았다. 내부에는 비로자나여래상이 단독으로 모셔져 있으며 그 뒷편에 비로자나여래, 노사나여래,…
-
양산 통도사 영산전(보물), 하로전 영역 주불전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경내에 있는 영산전(보물)이다. 통도사의 첫번째 영역인 하로전(下爐殿) 영역의 주불전이다. 조선후기 숙종 때 화재로 불타버린 것을 중건하였다. 내부에는 석가모니의 일생을 표현한 팔상도가 모셔져 있으며, 내부 벽면에는 다보탑을 표현한 <견보탑벽화>를 비롯하여 총 50점의 벽화(보물)가 그려져 있다. 건물은 앞면 3칸의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화련한 단청과 공포로 장식하고 있다. 영산회상탱(보물), 팔상도(보물)가 이곳에 모셔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