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왕릉

  • 서울 선릉(宣陵, 사적), 조선 9대 성종과 계비 정현왕후의 능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선릉(宣陵, 사적)이다. 조선의 전성기를 이끈 9대 성종과 계비 정현왕후의 능이다. 예종때 반포된 <국조오례의>를 비교적 충실히 따랐으며 세조의 광릉과 마찬가지로 정자각을 중심으로 2개의 언덕에 봉분을 조성한 동원이강릉의 형식을 따르고 있다. 반면에 세조의 광릉과는 달리 봉문에 병풍석을 세웠으며 그 안에 십이지신상을 새겼다. 정현왕후의 능에는 병풍석을 세우지 않았다. 정현왕후는 중종의 어머니로 연산군을 몰아내고 왕위에…

  • 고양 서오릉 경릉(敬陵, 사적), 추존왕 덕종과 소혜왕후의 능

    경기도 고양시 용두동 서오릉(사적)에 있는 경릉(敬陵)이다. 추존왕 덕종(德宗)과 소혜왕후의 능이다. 왕릉의 조성을 간소하게 한 세조의 유지를 받들어 광릉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양쪽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조성한 동원이강릉 형식을 하고 있으며, 봉분에는 병풍석을 두르고 있지 않다. 경릉은 덕종이 세자의 신분으로 죽었기때문에 문석인만 두는 등 세자의 격식에 맞게 조성되었으며, 덕종으로 추존된 이후에도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였다.…

  • 남양주 광릉(光陵, 사적), 조선 7대 세조와 정희왕후의 능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에 위치한 광릉(光陵, 사적)이다. 조선 7대 세조와 왕비 정희왕후 윤씨의 능이다. 조선 왕릉의 표준을 제시한 능으로 세조의 유명에 따라서 당나라의 능묘제도를 받아들인 통일신라시대 이후 왕릉과 귀족들의 무덤에 사용하였던 석실과 십이지신상 등을 새겼던 병풍석을 없애면서 왕릉조성에 들어가던 경비를 크게 줄였다. 왕릉을 수호하는 상징으로 새겼던 12지신상 대신에 난간동자석주를 새기고, 석실은 회격으로 바꾸었다. 또한 능을 배치함에…

  • 구리 동구릉 현릉(顯陵, 사적), 조선 5대 문종과 현덕왕후의 능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동구릉(사적)에 있는 현릉(顯陵)이다. 세종의 맏아들로 훈민정음 창제를 돕고, 세자시절 많은 업적을 남긴 조선 5대 문종과 현덕왕후의 능이다. 동구릉 건원릉 동쪽 언덕에 봉분이 나란히 배치된 동원이강릉이다. 세조때 만들어져 예종 때 반포된 <국조오례의>에 따라 조성된 가장 오래된 왕릉이다. 문종의 능은 처음부터 이곳에 있었으나, 현덕왕후는 왕비가 되기 전에 단종을 낳은 직후 죽어 경기도 안산의 소릉에…

  • 여주 영릉(英陵,사적), 조선 4대 세종과 소헌왕후 합장릉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에 있는 영릉(英陵, 사적)이다. 조선 4대 세종과 정비 소헌왕후 심씨의 능으로 조선 최초의 합장릉이다. 1469년 여주로 이장하면서 예종 때 반포된 <국조오례의>에 따라 병풍석과 석실제도를 폐지하고 회격으로 하는 조선 전기 능제의 기본을 이루었다. 석물은 난간석 영저(靈杵), 영탁(靈鐸), 지초문양(芝草紋樣)을 배제하고 구름 문양과 십이지신상만 조각해 조선 왕릉 난간석의 기본을 확정하였으며, 혼유석을 받치는 북모양의 석물인 고석을 기존의…

  • 서울 헌릉(獻陵, 사적), 조선 3대 태종과 원경왕후의 능

    서울 서초구 내곡동에 있는 조선 3대 태종과 원경왕후를 모신 헌릉(獻陵, 사적)이다. 한강 이남 대모산 남쪽편 기슭에 자리잡고 있다. 태종과 원경왕후의 봉분이 같은 언덕에 조선된 쌍릉으로 태종의 명에 따라서 고려왕릉의 불교적 요소를 제거하였다. <국조오례의>에 따라 조성된 조선중기 이후 정형화된 왕릉과는 달리 고려왕릉의 형태가 일부 남아 있다. 봉분 앞에 혼유석,장명등 등 석물이 따로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고려시대…

  • 서울 정릉(貞陵, 사적),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의 능

    서울 성북동 정릉2동 북악산 동쪽편 자락에 위치한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의 능인 정릉(貞陵, 사적)이다. 태조는 신덕왕후가 죽자 능을 덕수궁 부근(현 영국대사관부지)에 자신의 능역과 함께 조성하고 원찰로 부근에 흥천사를 세웠다. 조선이 건국하면서 처음으로 조성한 왕릉으로 고려의 왕릉제도를 참조하였다. 태종은 정릉을 현재의 위치로 옮기면서 석재 일부를 청계천 광통교를 보수하는데 사용하고 목재들을 태평관 건축에 사용하는 등 홀대하였다고 한다. 태종…

  • 구리 태조 건원릉 정자각(보물), 조선 왕릉 건축의 표준이 되었던 건물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 건원릉에 있는 정자각(보물)이다. 정자각은 왕릉에서 제사를 지내는 공간으로 고려시대 능제의 하나였다. 1408년(태종8)에 태조가 승하한 후 왕릉을 조성할 때 공민왕 현릉의 제도를 참조하여 지어진 건물이다. 조선을 건국한 이후 처음으로 조성된 왕릉의 정자각으로 여러차례 중수를 하기는 했으나 <국조오례의>에 정의된 원래의 모습을 잘 유지하고 있다. 건물은 장대석으로 쌓은 월대에 올려 놓고 있다. 제사를 올리는 공간인…

  • 구리 동구릉 건원릉(健元陵, 사적), 조선을 건국한 태조의 능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사적)에 있는 조선을 건국한 태조(1335~1408년, 재위 1392~1398년)의 무덤인 건원릉(健元陵)이다. 조선을 건국한 이후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의 정릉에 이어 두번째로 조성되었다. 태조가 승하한 이후 풍수지리 등을 고려하여 명당자리를 찾아 6천여명의 인원이 동원되어 조성되었다. 건원릉은 고려 왕릉의 제도를 받아 들이면서 비슷한 시기에 살았던 공민왕의 헌정릉 양식을 많이 따랐으며 내부는 석실로 만들었다. 하지만 봉분 주위에 곡장으로 두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