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고택
-
[일본 도쿄] 구로몬(黒門), 에도시대 다이묘 저택 정문
도쿄국립박물관 옆에 있는 ‘옛 인슈 이케다 가문 저택의 정문旧因州池田屋敷表門’이다. 구로몬黒門이라 불리는 이 건축물은 에도시대 지방영주가의 도쿄 대저택 출입문이다.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양쪽에 큰 규모의 초소건물을 두고 있다. 에도시대 말기에 지이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에도시대 있었던 다이묘 저택의 규모와 형태를 잘 보여주는 건축물이다. 옛 인슈 이케다 가문 저택의 정문(구로몬)이 문은 본래 인슈(지금의 돗토리현의 일부) 지역의 영주…
-
안동 예안이씨충효당(보물)
경북 안동 풍산읍 하리리(下里里)에 있는 고택인 “안동 예안이씨충효당”(보물)이다. 이 고택은 풍산천과 넓은 벌판이 내려다 보이는 경관이 빼어난 곳에 자리잡고 있다. 임진왜란때 의병활동과 후손들의 효심으로 인해 국가로부터 ‘충효당(忠孝堂)’이라 이름을 하사받은 유서깊은 저택이다. 조선중기에 처음 지어진 것으로 보이는 이 집은 넓거나 화려하지는 않지만 섬세하게 설계되어 있고 개방적인 형태를 하고 있다. 풍산읍 넓은 들판이 내려다 보이는 곳에 위치한…
-
안동 퇴계종택, 퇴계 이황 종손이 살고 있는 종가집
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있는 “퇴계종택”이다.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유학자 퇴계 이황의 종가로 장손이 이안도가 처음 지었다. 원래 있던 종택은 없어지고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에 이황의 13대손 이중후가 옛 종택 규모를 짐작하여 새로 지은 집이다. 동향을 하고 있는 종택은 앞.뒤로 산이 막혀 있지만, 작은 개천이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건물은 총 34칸 규모로 제법 규모가 있는 사대부…
-
안동 농암종택, 낙동강 경치 좋은 곳에 자리잡은 고택
경북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에 있는 ‘농암종택’이다. 농암 이현보의 후손들이 대를 이어 살아오고 있는 종택이다. 건물은 안채, 사랑채, 별채, 문간채와 별당에 해당하는 긍구당, 명농당이 있다. 낙동강이 집앞을 흐르고 있는 경치좋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 건물 중 긍구당은 입향조 이헌이 고려 후기에 건축한 건물이라고 하며, 다른 건물들은 대체로 후대에 다시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사당에는 불천위 조상으로 농암 이현보를…
-
청송 중평마을 사남고택
경북 청송군 파천면 중평마을에 있는 사남고택 (泗南古宅)이다. 18세기 후반에 분가하면서 지은 집이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4칸의 ‘ㅁ’자형 평면을 하고 있다. 앞쪽에는 중문을 중심으로 왼쪽에 큰사랑방이, 오른쪽에 작은사랑방이 있다. 큰 사랑방은 기단을 높게 하고 별도로 팔작지붕을 올려 누마루가 있는 독립된 건물처럼 보인다. 앞면 2칸의 큰사랑방은 왼쪽에는 마루방이, 오른쪽에는 온돌방을 두고 있다. 작은사랑방도 비슷한 구조이다. 앞마당…
-
청송 중평마을 서벽고택
경북 청송군 파천면 중평마을에 있는 서벽고택(棲碧古宅)이다. 18세기에 종택에서 분가하면서 처음 지었으며 그 후 확장하였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4칸의 ‘ㅁ’자형 평면을 하고 있다. 중문칸 서쪽에 큰사랑방을, 오른쪽에 작은사랑방을 두고 있다. 뒷편에 서당과 영모각이 있다. <청송 중평마을 서벽고택> <큰사랑방> <작은사랑방> <옆쪽에서 본 모습> <서당 건물> <영모각> <서당건물 앞 초가> <큰길에서 보이는 모습> 서벽고택(棲碧古宅) 이 고택은 평산…
-
청송 덕천마을 초전댁
경북 청송군 판천면 덕천마을에 있는 고택인 초전댁(草田宅)이다. 1806년에 지은 집으로 마을에서는 꽤 오래된 고택이다. 건물은 안채, 사랑채, 중문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전형적인 경북 북부지역 한옥 양식을 하고 있는 건물로 조선후기 상류층이 살았던 저택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청송 덕천마을 초전댁> <공간배치> 사랑채는 앞면 2칸 규모로 사랑방과 사랑마루가 있다. 왼쪽에는 중문과 작은 사랑방이 있다. 안채는 ‘ㄷ’자형으로…
-
청송 덕천마을 찰방공종택
경북 청송군 파천면 덕천마을에 있는 찰방공종택이다. 일제강점기인 1933년에 지은 근대 한옥이다. 건물은 안채, 사랑채, 문간채가 ‘ㄷ’자 형태를 하고 있다. 뒷편에는 사당이 있다. 전통적인 고택의 양식을 따르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잘 꾸며진 근대식 개량한옥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대저택인 청송 송소고택과 담장을 사이에 두고 있다. <청송 찰방공종택> <공간배치> <들어가는 길> <사랑채> <중문채> <사당> <별채> 청송심씨 찰방공종택 이 가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