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물
-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및 광배(보물)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물걸리 절터에 남아 있는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및 광배”(보물)이다. 불상은 없지만 광배와 석조대좌가 온전히 남아 있다. 배모양의 광배는 전체에 걸쳐 화려하게 조각되어 있다. 안쪽에는 화려한 넝쿨무늬가, 바깥쪽에는 불꽃무늬가 섬세하게 조각되어 있다. 대좌는 8각형 평면에 상대, 중대, 하대로 구성되어 있다. 옆에는 다른 불상이나 대좌와 동일한 양식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통일신라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
홍천 물걸리 석조여래좌상(보물)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물걸리 절터에 남아 있는 “홍천 물걸리 석조여래좌상”(보물)이다. 얼굴은 심하게 마모되어 알아볼 수 없으며 머리에는 상투모양의 육계가 있다. 손은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어 석가여래를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통일신라 전성기 불상에 비해 평면적이며 왜소한 느낌을 주고 있다. 파손된 부분이 많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장식성이 강조되는 통일신라 후기 석조불상의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대좌는…
-
홍천 물걸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물걸리 절터에 남아 있는 “홍천 물걸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이다. 석조대좌 위에 비로자나불좌상이 올려져 있다.머리에 소라모양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그 위로 상투모양 머리묶음이 솟아 있다. 얼굴은 풍만하지만 턱이 뾰족하고 단정한 느낌을 주고 있다. 손은 지권인(智拳印) 수인을 하고 있어 비로자나불을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투박하면서 형식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른 불상이나 삼층석탑과 비슷한 시기인…
-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보물)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물걸리 절터에 남아 있는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보물)이다. 광배와 대좌만 남아 있는데 그 중 대좌는 원형의 잘 보존되어 있다. 머리광배는 없어지고 몸광배만 남아 있다. 광배 안쪽에는 덩툴무늬를, 가장자리에는 불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대좌는 8각형 평면을 하고 있다. 하대는 향로와 새모양이 조각되어 있는 받침대 위에 올려져이씨는데 연꽃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중대는 각면에 모서리 기둥을 새기고 안쪽에…
-
홍천 물걸리 삼층석탑(보물)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물걸리 절터에 남아 있는 “홍천 물걸리 삼층석탑”(보물)이다. 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부 각면에는 모서리와 가운데 기둥모양을 새겨 놓았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서리에 기둥모양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밑면 받침이 1,2층은 5단, 3층은 4단으로 되어 있다. 꼭대기 머리장식은 없어지고 노반만 남아 있다.…
-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보물)
강원도 홍천군 영귀미면에 있는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보물)이다. 조선중기 인조 때 수타사를 중건하면서 주불전으로 지어진 건물이다. 내부 불단에는 닫집을 구성하였으며 비로자나불을 모시고 있다. 조선중기 건축양식 간직하고 있으면서도 다포계 팔작지붕 등 조선후기 건물의 특징도 잘 반영되어 있다. 규모가 크지는 않으나 전체적으로 각 부재간 비례가 우수하고 건축적인 조형미가 돋보이는 건물이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3칸 규모이다. 지붕을 받치는…
-
홍천 수타사 동종(보물), 사인 비구가 제작한 작품
강원도 홍천군 영귀미면에 있는 “홍천 수타사 동종”(보물)이다. 조선후기 범종 제작에 뛰어났던 승려 사인 비구가 제작한 8점의 범종 중 하나이다. 조선후기인 1670년에 만들어진 이 종은 높이 110cm로 화려한 조각수법과 사실적이 표현이 특징이다. 이 동종은 종을 매다는 종뉴를 따로 만들어 몸체와 붙여서 제작하였다. 신라범종의 외형적.기술적 특징을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맨위에는 범어를 새겨서 띠를 만들고 있고, 그 아래는…
-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보물), 성리학을 들여온 안향을 모신 사당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에 있는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보물)이다. 고려시대 성리학을 처음 들여온 안향을 주향으로 안축, 안보, 주세붕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건물 주위로 담장을 둘렀으며, 앞과 옆에 출입문을 두고 있는데 후대 서원의 사당과는 달리 작은 협문을 사용하고 있다. 최초 서원에 세워진 사당으로 ‘사(祠’자를 쓰고 있는 다른 사당과는 달리 ‘묘(廟)’자를 사용하고 있어 격이 높음을 짐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