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사리갖춤

  •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보물)이다. 금강산 월출봉에서 발견된 사리갖춤이다. 가장 안쪽의 은제 도금 탑형 사리기와 이것을 넣는 은제도금팔각당형 사리기, 청동 발, 백자 발 순으로 포개어 납입되었다. 백자발과 사리기에 새겨진 명문에 따르면 이성계가 임금의 자리에 오르기 전(1391년)에 부인 강씨 등과 함께 발원하여 만들어 봉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성계가 발원한 사리장엄구,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

  •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엄장구(보물)

    경북 경주시 양동면 용당리 감은사지에서 출토된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엄장구'(보물)이다. 1956년 서삼층석탑을 해체.수리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사리엄장구는 청동으로 만든 사리함(외함)과 사리를 넣었던 사리기로 구성되어 있다. 사리함은 옆면에 사천왕상이 새겨져 있으며, 짐승얼굴모양의 고리가 사천왕상 옆에 달려 있다. 청동으로 만든 사리기는 기단과 몸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탑에서 출토된 사리구(보물)와는 달리 닫집형태를 만드는 기둥과 지붕이 남아 있지 않다. 사리함을 장식하고 있는…

  •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사리장엄구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황룡사 구층목탑 사리장엄구’이다. 황룡사 구층목탑 심초석 아래는 사리공과 함께 ‘지진구’라 불렸던 많은 공양품 들이 발견되었다. 예전에는 큰 건물을 세울 때 땅의 기운을 누르기 위해 땅에 묻는 물건으로 지진구라 불렸으나 최근에는 공양품이라고 한다. 황룡사 심초석 아래에는 목탑을 처음 세울 때 묻은 공양품과 이후 수리과정에서 다시 묻은 공양품들이 있다. 그 종류는 청동그릇, 침통, 칼,…

  •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 출토 사리장엄구 (보물)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 출토 사리장엄구 (보물)’이다. 1916년 도굴범들이 탑의 일부를 무너뜨리는 바람에 경복궁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동탑과 서탑 모두 동제항아리 안에 금동병이 넣어진 상태로 안치되었다. 사리병은 나팔형으로 벌이긴 목과 타원형의 몸통을 가졌는데 당시 유행했던 병의 형태를 따르고 있다. 최근 보존처리 과정에서 다리니 1매가 발견되었다. 동.서삼층석탑에서 모두 사리장엄구가 발견되었다. 사리장엄구는 동으로 만든…

  •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보물)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보물)이다. 1959년 탑을 해체.수리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1층 탑신에는 나무, 돌, 동으로 만든 조선시대 불상이, 2층 지붕에는 통일신라 때 만들어진 사리장엄구를 비롯한 공양물들이, 머리장식부에는 고려시대에 만든 삼감청자 원형합 등이 발견되었다. 2층 탑신 지붕에서는 통일신라 때 넣은 사리갖춤이 발견되었다.통일신라 금속공예의 걸작으로 궁궐 정전이나 불전에서 볼 수 있는 장엄함을 표현하는 닫집 형태를…

  •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사리장엄구(보물)

    강원도 평창 오대산 월정사 팔각구층석탑(국보)에서 발견된 사리장엄구(보물)이다. 석탑이 건립될 때 함께 봉안된 것으로 추정된다. 유물로는 은제도금여래입상, 수정사리병, 금동제 사각향갑, 청동거울 등 9종 12점이 있다. 통일신라 석탑에 있던 사리장엄구에 비해 소박하면서 간소해 보인다. 고려초기 사리장엄구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유물이다. <1. 청동합, 2. 청동 용무늬 거울, 3. 은제 합, 4. 금동합, 5. 수정 사리병> <은제도금여래입상> <출처>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19년…

  •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보물), 2013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보물)이다. 1959년 탑을 해체.수리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1층 탑신에는 나무, 돌, 동으로 만든 조선시대 불상이, 2층 지붕에는 통일신라 때 만들어진 사라장엄구를 비롯한 공양물들이, 머리장식부에는 고려시대에 만든 삼간청자 원형합 등이 발견되었다. 사리장엄구는 채색된 돌거북모양의 사리외함에 담겨 있었는데 전각형태 금동으로 만든 사리기 안에 녹색 유리잔과 사리를 담은 유리병으로 구성되었다. 에 용도를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