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전통건축
-
덕수궁 외조, 대한문에서 중화문까지
대한문은 삼문이 있는 단층건물이다. 덕수궁의 원래 정문은 정전인 중화전 정면에 있던 인화문이었는데 1904년 화재로 중화전 등을 재건할 때 환구단을 중심으로 현 시청광장 주변이 도심의 중심지로 바뀌면서 동쪽 대안문(大安門)을 대한문으로 이름을 고쳐서 정문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후 서울의 중심 도로인 태평로를 확장할 때 여러차례 이전하면서 현재 위치에 자리게 되었다. 이런 까닭에 대한문을 들어서면 돌다리인 금천교가 대한문 바로…
-
창경궁 치조, 편전인 문정전과 숭문당, 함인정
창경궁은 왕실 어른들과 후궁들을 비롯한 왕실 가족들이 거처할 목적으로 세운 이궁(離宮)으로 임진왜란 전까지는 국왕이 머물거나 업무를 보는 공간이 아니었다. 임진왜란 이후 경복궁을 중건하지 않고 창덕궁이 법궁 역할을 하면서 이를 보조하는 궁궐로서 역할을 갖게 되었다. 창경궁도 다른 궁궐과 마찬가지로 정전인 명정전과 편전인 문정전을 두고 있다. 문정전은 편전으로 창덕궁 선정전과 비슷한 규모를 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많이 사용하지…
-
창경궁 치조, 정전인 명정전(국보)와 조정
창경궁 명정전(국보)은 현존하는 궁궐 전각 중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명정전은 성종대(1484년)에 처음 지어졌으며,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광해군대(1616년)에 중건한 것이다. 건물은 궁궐 정전으로 2층 월대 위에 세워졌다. 월대 중앙에는 돌계단을 두고 있으며, 돌계단 답도에는 봉황이 새겨진 소맷돌과 석수를 배치해 놓고 있다. 경복궁 근정전과는 달리 월대에 돌난간을 비롯한 장식은 많지 않은 편이다. 건물 규모는 앞면 5칸에…
-
창덕궁 후원, 부용지와 주합루 그리고 영화당
창덕궁 후원은 자연 지세에 맞게 지어진 가장 한국적인 궁궐로서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창덕궁 후원은 인공적인 면이 많은 경복궁 경회로 연못이나 중국과 일본의 정원과는 달리 자연친화적인 조경을 보여 주고 가장 한국적인 정원이다. 지금은 창덕궁 정전과 국왕이 집무를 보고 가족이 생활하던 편전과 침전, 동궁을 지나서 후원으로 들어갈 수 있어 한때는 ‘비원(秘苑)’이라고 불리기도 했지만, 실제로는 동궐내에서 일반인들의…
-
창덕궁 동궁, 세자 서연이 열렸던 성정각과 관물헌
궁궐에서 정전 동쪽에는 세자가 거처하는 동궁(東宮)이, 서쪽에는 국왕을 가까운 곳에서 보필하는 관청들인 궐내각사가, 뒷편에는 국왕의 업무공간인 편전과 생활공간인 침전이 자리하고 있다. 창덕궁에서는 편전과 침전이 정전 동쪽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궁은 편전인 희정당 동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동궐도 동궁영역에는 생활공간인 중희당을 중심으로 세자의 교육을 위해 서연(書筵)이 열렸던 성정각과 관물헌, 그리고 부속 건물과 행각들로 이루어져 있다. 동궁 동쪽으로는 지금은…
-
창덕궁 편전, 국왕의 업무공간 선정전과 희정당
궁궐의 공간은 크게 관청들이 배치되는 외조, 왕이 정치를 하는 치조, 왕과 왕비가 생활하는 연조로 나누는데 남북 방향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조선의 법궁으로 세워진 경복궁이 이런 법칙에 따라 공간을 배치하고 있다. 반면에 창덕궁은 태종때 상왕을 위한 이궁으로 세워진 궁궐로 자연지세에 순응하는 형태로 공간을 배치하고 있다. 창덕궁 앞에는 종묘가 있어 정문인 돈화문이 남서쪽 모서리에 설치되어 있고,…
-
창덕궁 정전, 인정전(국보)과 조정
인정전는 창덕궁을 정전으로 조선 500년 동안 가장 오랜 기간동안 법전 역할을 했던 곳이다. 법전은 왕의 즉위식, 결혼식, 세자책봉식, 문무백관의 하례식 등 국가적인 행사를 치렀던 건물이다. 또한 인정전은 임진왜란 때 선조가 피난길을 출발한 곳이었으며, 인조반정도 이곳에서 벌어지는 등 많은 역사적인 사건이 있었던 곳이기도 하다. <창덕궁 정전 영역> 인정전은 태종대에 처음 세워졌고, 임진왜란대에 소실된 것을 광해군대에 오늘날과…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국보),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건축물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 경내에 있는 무량수전(국보)이다. 고려시대에 지어진 건축물로 봉정사 극락전, 수덕사 대웅전과 함께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로 손꼽힌다. 앞면 5칸, 옆면 3칸의 건물로 겹처마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주심포식 공포를 하고 있다. 부석사의 주불전으로 아미타여래를 모시고 있는데, 불상이 동향을 하고 있어, 앞면으로 보이는 부분은 사실상 옆면이다. 앞뒤 양쪽에 출입문을 두고 있는데, 앞면은 가운데 3칸에 문합문을…
-
성균관 문묘(보물), 대성전을 중심으로 한 제향공간
문묘(文廟)는 공자의 위패를 모신 사당을 통칭하는 말로 중국에서는 공묘(孔廟)라고 부른다. 공묘는 공자가 죽은 노나라 애공이 공자가 살았던 집에 사당을 세우면서 시작되었으며, 중국을 비롯하여 동아시아 각국에 공자의 사당이 세워졌다. 공자가 살구나무 아래서 제자들을 가르쳤다는데서 유래한 행단(杏壇)은 문묘(文廟)가 교육기관으로서의 특징을 보여주며, 중국을 비롯하여 동아시아에서 공자사당인 문묘는 교육기관을 의미하기도 한다. 중국 북경에서는 최고 교육기관으로 문묘를 국자감이라고 부르며, 우리나라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