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청자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고려청자로 꽃피운 도자문화
고려후기에는 몽골의 침입으로 오랜 기간 전쟁을 치르면서 국가적으로 경제가 상당히 어려웠던 시기이다. 이는 청자제작에도 영향을 미쳐 전반적으로 전성기의 청자에 비해서 고려후기에는 그 제작수법의 단순해졌으며, 이전의 세련된 기술들이 많이 쇠퇴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고려후기 해안지역에는 일본의 왜구가 서남해안 지방을 침입하여 고려청자를 만들던 가마들이 있었던 전남 강진과 전북부안의 장인들이 내륙으로 피난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도자기…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고려자기의 종류와 장식기법
고려청자가 처음 만들어진 이후 비색청자로 불리는 순청자가 주를 이루었으며 12세기 전반까지 절정기를 이었으며 이후 상감기법이 도입되어 그 빛깔과 함께 예술적 조형미까지 갖추게 되었다. 고려청자에는 상감청자를 비롯하여 다양한 장식기법이 활용되었다. 그릇 표면에 무늬를 파내는 음각 기법, 무늬를 도드라지게 새기는 양각기법, 틀로 무늬를 찍어 내는 압출양각 기법, 무늬 바깥 부분을 도려내어 구멍을 뚫는 투각기법, 붓을 써서 흰…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비색청자의 걸작, 상형청자
전성기 고려청자 중에는 인물이나 동물, 특정한 형이나 술을 담는 병, 문방구의 하나인 연적 등이 있다. 고려청자를 대표하는 칠보무늬 향로(국보)를 비롯하여 간송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원숭이모양 연적(국보), 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거북모양 주자(국보), 어룡모양주자(국보) 등이 고려청자로 만들어진 대표적인 상형자기라 할 수 있다.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국보)는 사자모양의 뚜껑과 향을 피우는 몸체로 구성되어 있다. 뚜껑은 대좌에 앉은 사자 형상을 하고…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고려청자의 시작, 비색청자
비색청자로 불렸던 고려 청자는 은은한 녹색을 띠는 도자기로 우리나라을 대표하는 문화재이자 예술작품이다. 고려청자는 도자기 종주국인 송나라 사람들조차도 그 빛깔이 중국 청자보다 뛰어나다고 칭송하였다고 한다. 비색청자는 유약이 반투명하며 그릇표면에 금이 생기지 않고 광택이 은은한 것이 특징으로 11세기 후반에서 12세기 전반에 절정기를 이루며 12세기에는 상감기법이 도입되어 그 빛깔과 함께 예술적 조형미까지 갖추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자기가 언제부터 만들어…
-
청자 참외모양 병 (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참외모양병'(국보)이다. 개성시 고려 인종 장릉에서 인종의 시책(諡冊)과 함께 출토되었다고 전해진다. 고려청자 전성기였던 12세기에 만들어진 참외모양을 하고 있는 청자병이다. 아가리부분은 활짝핀 참외꽃 모양을, 몸통은 참외 모양을 하고 있다. 장식이나 무늬가 없지만 청자고유의 빛깔과 단정하고 세련된 조형미로 당시 귀족들을 취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뛰어난 색과 완벽한 균형미를 잘 갖추고 있는 걸작으로 비슷한 형태의…
-
청자 양각갈대기러기문 정병(보물), 물가풍경무늬 정병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양각갈대기러기문 정병'(보물)이다.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들어진 물가풍경무늬 정병이다. 몸체의 한면에는 물가의 갈대와 기러기 1쌍을 그렸고 다른 면에는 수양버들 아래에서 수영하고 원앙 1쌍을 그려 놓고 있다. 이 정병는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청동은입사기법으로 만든 정병(국보)과 거의 비슷한 외형을 하고 있다. 청동으로 만들어 사용하던 동기(銅器)를 모방하여 만든 것으로 볼 수 있는데 만든 수법이 매우 세련되었으며 안정적인…
-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보물, 1986)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보물)이다. 넓은 아가리에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몸통 등 전형적인 고려시대 매병(梅甁)의 형태를 하고 있다. 흑백상감기법으로 앞.뒷면 매와와 대나무를 큼직하게 배치고 그 사이 새와 학, 풀을 표현하고 있다. 붓으로 그린듯한 회화적인 표현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고려시대 12세기에 만들어졌다. 청자 상감 매화.대나무.학무늬 매병, 고려 12~13세기, 보물 서정적이고 우아한 분위기가 돋보인다. 여유로운 공간…
-
청자 상감당초문 완(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상감당초문 완'(국보)이다. 굽부분이 좁고 아가리가 벌어진 형태를 하고 있는데 굽에서 아가리까지 완만한 선을 이루고 있다. 대접 안쪽에는 꽃무늬를 새겼는데 바탕에 백토를 상감하는 역상감기법을 쓰고 있다. 바깥면에는 5곳에 국화를 한송이씩 두고 있다. 경기도 개풍군에서 무덤에서 조성연대(1159년)가 적힌 묘지(墓誌)와 함께 출토된 것으로 연대를 알 수 있는 상감청자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이 대접은 12세기…
-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국보)이다. 고려 인종의 능에서 출토된 것과 비슷한 참외모양을 하고 있는 꽃병이다. 긴목의 아가리가 벌어진 것은 참외꽃 모양이고, 몸통은 참외모양을 하고 있다. 이런 형태의 병은 중국 당나라에서 만들어졌으며, 고려에 전해지면서 한국적인 형태로 바뀌었다. 몸통 중간에는 모란무늬와 국화무늬를 번갈아 가며 1개씩 장식하고 있으며 아래에는 연꽃무늬가 있다. 고려시대 12~13세기에 만들어졌다. 몸통은 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