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카테고리:] 유적지

  • 홍천 물걸리 사지, 홍천강 교통 요지에 있는 절터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동창로에 있는 “홍천 물걸리 사지” 절터이다. 이곳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나 홍양사라는 사찰이 있었던 것으로 전한다. 이곳에는 석탑과 석조불상 등 5점의 보물이 남아 있으며 발굴조사 결과 통일신라 금동여래입상, 고려시대 철불 파편, 암막새와 수막 등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강원도 동해안에서 한강하류 서울로 연결되는 교통로 길목에 위치하고 있다. 통일신라 때 군사조직이 주둔했던 교통요지에…

  • 영주 소수서원(사적), 안향을 모신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에 있는 “영주 소수서원紹修書院”(사적)이다. 성리학을 처음 들여온 안향을 모시기 위해 풍기군수 주세붕이 백운동서원이란 이름으로 세웠던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이다. 이후 퇴계 이황이 풍기군수로 재직하면서 국왕으로부터 ‘소수서원’이란 현판을 하사받은 최초의 사액서원이 되면서 전국적으로 명성을 얻게 된 것으로 보인다. 서원은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며 후학을 양성하던 곳으로 중국 당나라 때 집현전서원 등의 설치에서 유래하였다. 소수서원은 최초의…

  • 안동 분강서원, 농암 이현보

    경북 안동시 도산면에 있는 분강서원이다. 1613년 후손과 사림이 농암선생의 학덕을 추모하기 위해 사당인 향현사를 세웠으며 1699년 서원으로 개편하였다. 구한말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며 1976년 복원되었가 안동댐 건설로 수몰되면서 다른 곳으로 옮겼다가 최근에 현재의 위치로 다시 옮겼다. 경내 건물로는 사당인 숭덕가, 강당인 흥교당, 동재인 극복재, 서재인 경서재가 있다. <출처>

  • 안동 월천서당, 조목이 후학양성을 위해 세운 서당

    경북 안동시 도산면 월천리에 있는 ‘월천서당(月川書堂)’이다. 조선시대 고위관료를 지낸 인사나 학자들이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세운 서당이다. 퇴계의 제자로 유일하게 도산서원에 모셔진 월천 조목(1524~1606)이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세웠다. 퇴계가 세웠던 도산서당이나 같은 제자인 유성룡의 병산서원, 김성일의 임천서원과 비슷한 기능과 위상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임천서원이나 병산서원과는 달리 서원으로 발전하지는 못했다. 도산서원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건물은…

  • 부여 나성 (사적), 백제 수도 사비를 둘러싸고 있는 도성

    충남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부여 나성'(사적)이다. 백제의 수도 사비를 방어하기 위해 쌓은 중요한 외곽 방어시설이다. 당나라 장안성이나 조선의 한양 도성과 비슷한 성격을 갖는 둘레 8km 정도의 도성(都城)이다. 웅진에서 사비로 천도하기 위해 538년을 전후하여 쌓았다. 전체적인 구조는 부소산성 동문에서 시작하여 청산성에서 남쪽 석목리 필사봉을 거쳐 금강변까지 이어진다. 동쪽과 북쪽으로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성벽을 쌓고, 남쪽과 서쪽은 백마강이…

  • 부여 능산리사지 (사적), 백제 성왕을 위해 세운 사찰

    충남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 있는 ‘부여 능산리 사지'(사적)이다. 백제의 대표적인 고분군인 능산리고분군과 백제 수도 사비성을 둘러싸고 있던 부여나성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백제가 사비로 도읍을 옮기던 시기에 세워졌다는 의견도 있지만, 대체로 백제 성왕의 아들 위덕왕이 아버지인 성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운 원찰로 보고 있다. 목탑터 심초석에서 출토된 사리감에는 창왕의 여동생인 공주가 만들어 사리와 함께 봉안했다는 내용의…

  • 부여 왕릉원(사적), 사비기 백제 왕릉

    충남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부여 왕릉원’사적이다. 백제의 도성인 부여 나성(사적) 바깥쪽 나즈막한 구릉에 자리잡고 있다. 사비기 백제 왕릉으로 추정되는 무덤들로 ‘부여 능산리 고분군’으로 불렸다. 일제강점기 일본인에 의해 6기의 무덤이 확인되었으며, 1971년 1기의 무덤이 다시 발견되어 총 7기의 무덤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국 도교의 영향을 받아 산을 등지고 있는 배산임수의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다.  백제 마지막 도성인 사비성을 둘러싸고…

  • 부여 군수리사지 (사적), 백제 칠지도가 출토되었던 절터

    충남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군수리사지(사적)이다. 일제강점기인 1935년 일본인에 의해 백제 절터 중 최초로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금당터는 백제 건축에서 볼 수 있는 기와를 쌓은 와적기단을 사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목탑터 심초석 부근에서 금동미륵보살입상(보물)와 석조여래좌상(보물)가 출토되었으며, 칠지도를 비롯하여 다양한 토기들이 출토되었다. 금당터에서도 금동제방울 등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군수리사지는 사비도성 내에 있던 사찰이기는 하지만 문헌에는 그 기록이 남아 있지…

  • 부여 궁남지(사적), 백제 사비성 별궁 정원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있는 ‘부여 궁남지'(사적)이다. 백제 무왕 때 조성된 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연못은 ‘궁궐의 남쪽에 연못을 팠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궁남지’라고 불린다. 긴 수로를 통해 물을 끌어들여 버드나무를 심고 연못섬을 만들었다. 현재의 연못은 1970년대에 복원 공사를 통해 조성된 것으로 실제로는 현재의 모습보다 큰 규모였던 것으로 보인다. 궁남지 서쪽 화지산에서는 건물터 등이 확인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