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카테고리:] 유적지

  • 서울 인릉(仁陵, 사적), 조선 23대 순조와 순원왕후의 능

    서울 서초구 내곡동에 위치한 인릉(仁陵, 사적)이다. 조선 23대 순조와 순원왕후의 능이다. 외관상으로 하나의 봉분에 혼유석이 1개만 설치되어 있는 단릉으로 보이지만 왕과 왕비가 같이 묻힌 합장릉이다. 병풍석은 없이 난간석만 둘러싸여 있다. 석물 배치 또한 일반적인 왕릉과 큰 차이가 없는 정형화된 조선후기 왕릉이다. 원래 순조의 능은 파주 교하에 조성되었는데 풍수지리상 불길하다는 의견이 대두되어 철종대에 현재의 위치로 이장하였다고…

  • 파주 삼릉 영릉(永陵, 사적), 추존왕 진종과 효순왕후의 능

    경기도 파주시 봉일천리 파주 삼릉(사적)에 위치한 영릉(永陵)이다. 조선 21대 영조의 장자이자 사도세자의 형인 추존왕 진종과 효순왕후 조씨의 능이다. 효장세자는 영조가 즉위한지 4년되는 해인 1728년에 어린 나이로 죽었기때문에 처음에는 왕자의 묘로 조성되었다. 이후 영조 38년 사도세자가 죽은 후 정조를 효장세자의 양자로 입적하고, 정조 즉위 후 진종으로 추존되었으며, 대한제국 선포 이후인 1908년에는 다시 황제로 추존되었다. 추존 내력은…

  • 고양 서삼릉 의령원(懿寧園), 조선 21대 영조의 손자 의소세손의 묘

    경기도 고양시 서삼릉(사적)에 있는 의령원(懿寧園)이다. 조선 21대 영조의 손자이자 사도세자의 큰아들인이자 정조의 형인 의소세손의 묘이다. 원래 서울 북아현동 중앙여고 자리에 있었는데, 1949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어린 나이(3세)에 죽었으며 영조를 이를 크게 슬퍼하여 도성에서 가장 가까운 북아현동에 묘를 조성하였다. 의소묘로 조성되었으며 고종대에 효창원으로 승격되었다. 봉분 앞 비석의 글씨는 영조의 친필이라고 한다. 서삼릉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조카인 문효세자와…

  • 고양 서삼릉 효창원(孝昌園), 조선 22대 정조의 원자 문효세자의 묘

    경기도 고양시 서삼릉(사적)에 있는 효창원(孝昌園)이다. 조선 22대 정조의 원자인 문효세자의 묘이다. 원래 서울 용산구 청파동 효창공원내에 있었으나 일제강점기인 1944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어린 나이(5세)에 죽었으며 효창묘로 조성되었으며 고종대에 효창원으로 승격되었다. 한양도성에서 가까운 능역이었던 효창원에는 순조의 후궁 숙의 박씨와 그의 소생 영온옹주, 문효세자의 생모 의빈성씨의 묘소와 함께 있었다. 지금은 서삼릉 내 큰아버지인 의소세손의 의령원 앞에 자리잡고…

  • 화성 융릉(隆陵,사적), 추존의황제 장조(사도세자)와 헌경의황후(혜경궁홍씨)의 능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에 있는 융릉(隆陵, 사적)이다. 사도세자로 잘 알려진 조선 22대 정조의 아버지인 장헌세자와 그의 비 혜경궁 홍씨의 합장릉이다. 원래 양주 배봉산에 있던 사도세자의 무덤인 영우원을 정조가 즉위하면서 이곳 화산으로 옮기고 현륭원(顯隆園)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세자의 무덤인 원(園)의 형식을 갖추었지만 봉분에 연꽃이 새겨진 병풍석을 설치하는 등 왕릉처럼 공간을 꾸몄다. 정조의 정성이 깊었던지 서쪽편 정조대왕의 건릉보다도 사도세자의…

  • 고양 서오릉 순창원(順昌園, 사적), 조선 13대 명종의 아들 순회세자와 공회빈의 묘

    경기도 고양시 신도동 서오릉(사적)에 있는 순창원(順昌園)이다. 조선 13대 명종의 큰 아들인 순회세자와 공회빈 윤씨의 묘이다. 원래는 순회묘라 불리었으나 순창원으로 바뀌었다. 세자와 세자빈이 같이 묻힌 합장묘이다. 봉분 주위로 담장을 둘렀으며 문인석일 비롯한 석물들이 배치되었으며 봉분 아래에는 정자각이 있다. <고양 서오릉 순창원> 고양 서오릉에 있는 순창원. 명종의 아들로 어린 나이에 요절한 순회세자 부부가 이곳에 묻혀 있다. <순창원…

  • 고양 서오릉 수경원(綬慶園), 조선 21대 영조의 후궁 영빈 이씨의 묘

    경기도 고양시 신도동 서오릉에 있는 수경원(綬慶園)이다. 조선 21대 영조의 후궁이자 사도세자의 어머니인 영빈 이씨의 무덤이다. 원래는 서울 연세대학교 교정에 있었는데 1968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예전부터 연세대학교회 앞 언덕의 잔듸밭은 봉분처럼 생겼다고 생각했는데 교회가 있는 자리는 봉분이 있었다. 서오릉으로 옮겨진 수경원은 봉분과 비석만 있는 단촐한 모습을 하고 있으며, 옛 수경원 건물터에는 정자각과 비각이 남아 있다. 연세대학교의…

  • 화성 건릉(健陵, 사적), 조선 22대 정조와 효의왕후의 능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에 있는 건릉(健陵)이다. 조선 22대 정조와 효의왕후을 모신 능으로 화산 서쪽편 언덕에 자리잡고 있다. 정조의 유지에 따라 왕릉의 조성은 융릉의 예를 따르고 있다. 원래는 융릉 동쪽 언덕에 안장되었는데, 풍수지리상 좋지 않다고 하여 효의왕후가 죽은 화산 서쪽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왕과 왕비가 하나의 봉분에 묻힌 합장릉이다. 현릉과 융릉(사적)는 정조가 즉위한 후 사도세자를 복권하고 양주에…

  • 파주 수길원(綏吉園, 사적), 조선 21대 영조의 후궁 정빈이씨의 무덤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영장리에 있는 수길원(綏吉園, 사적)이다. 조선 21대 영조 후궁이자 추존왕 진종의 어머니인 후궁 정빈이씨의 무덤이다. 수길원은 조선 왕족들의 무덤인 능원 중에서 비교적 먼곳에 위치하고 있다. 정빈이씨는 영조가 즉위하기 전에 죽었는데 영조의 어머니가 있는 소령원과 가까운 이곳에 묘소를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아들인 효장세자가 정조때 진종으로 추존되면서 원(園)으로 승격된 것으로 보인다. <파주 수길원(사적)> 파주시 광탄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