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카테고리:] 유적지

  • 여주 영릉(寧陵, 사적), 조선 17대 효종과 인선왕후의 능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에 위치한 영릉(寧陵, 사적)이다. 조선 17대 효종과 인선왕후의 능으로 세종대왕과 소헌왕후를 모신 영릉에서 북동쪽으로 700여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왕과 왕비의 능이 상하로 조영되어 있는 동원상하릉으로 조성된 최초의 사례이다. 왕릉을 두르는 담장인 곡장은 위쪽 왕의 능에만 있다. 또한 홍살문과 정자각 사이에 금천이 흐르며, 참도 중간에 금천교가 있다. 원래 구리 동구릉 건원릉…

  • 김포 장릉(章陵,사적), 추존왕 원종과 인원왕후의 능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 장릉산 자락에 위치한 장릉(章陵, 사적)이다. 조선 16대 인조의 아버지 추존왕 원종과 인원왕후의 능이다. 원래 양주군에 있었는데 인조반정으로 인조가 즉위후 현재의 위치로 옮겼으며, 인원왕후의 능 또한 현 위치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있던 것을 이장하였다. 장릉은 왕과 왕비의 무덤이 나란히 있는 쌍릉이며, 조선후기 전형적인 왕릉의 모습을 하고 있다. 장릉은 약간 경사진 언덕에 홍살문, 정자각,…

  • 구리 동구릉 목릉(穆陵,사적), 조선 14대 선조와 원비 의인왕후 박씨, 계비 인목왕후의 능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동구릉(사적)에 있는 목릉(穆陵)이다. 임진왜란을 겪었던 조선 14대 선조와 원비 의인왕후 박씨, 계비 인목왕후 김씨의 능이다. 같은 산에서 내려온 능선에 3개의 봉분을 따로 만든 동원이강능이다. 원비 의인왕후 박씨의 능을 건원릉 서쪽편에 조성하고 이후에 선조의 능을 조성되었다. 임진왜란으로 국력이 피폐했던 당시의 국가 경제 사정을 고려한 측면도 있고, 국난을 극복하면서 제2의 창업을 했다는 의미도 가지고…

  • 서울 태릉(泰陵, 사적), 조선 11대 중종의 계비 문정왕후의 능

    서울 노원구 공릉동에 있는 태릉(泰陵, 사적)이다. 조선 11대 중종의 계비이자 명종의 어머니인 문정왕후의 능이다. TV사극에 많이 등장하는 문정왕후는 중종이 계비임에도 고양 서삼릉에 있었던 중종의 능을 서울 강남의 정릉으로 옮기고 자기도 그 곳에서 묻힐 작정으로 원찰인 봉은사를 크게 중창하였다. 하지만 정릉 주변은 지대가 낮아 물이 자주 고여 지대를 높이는데 많은 비용이 든다는 이유로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 고양 서삼릉 희릉(禧陵, 사적), 조선 11대 중종의 계비 정경왕후의 능

    경기도 고양시 원당동 서삼릉(사적)에 있는 희릉(禧陵)이다. 조선 11대 중종의 계비이자 인종의 어머니인 정경왕후의 능이다. 봉분에 둘레석을 두르지 않고 난간만 두고 있는 단릉으로 조선전기 왕릉의 석물 양식을 따르고 있다. 장경왕후는 중종의 계비로 조선 12대 인종의 어머니이다. 아들인 인종의 능인 효릉이 서삼릉 능역에 같이 조성되었다. 희릉은 왕릉을 옮기는 천장 중에서 정치적 목적으로 이루어진 대표적인 곳이다. 희릉은 원래 태종의…

  • 서울 정릉(靖陵, 사적), 조선 11대 중종의 능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정릉(靖陵, 사적)이다. 조선 11대 중종의 능으로 왕비의 무덤이 없는 단릉 형식을 하고 있다. <국조오례의>에 충실히 따랐으며 선릉과 마찬가지로 봉분에 둘레석을 두르고 십이지신상을 새겼다. 원래 중종의 능은 고양 서삼능에 계비 장경왕후와 함께 동원이강릉의 형태로 있었으며, 그 곳을 정릉으로 불렀다. 중종의 계비이자 명종의 어머니였던 문정왕후는 서삼릉에 있던 정릉이 풍수지리상 좋지 않다는 이유로 선릉이…

  • 파주 삼릉 순릉(順陵, 사적), 조선 9대 성종의 원비 공혜왕후의 능

    경기도 파주시 봉일천리 파주 삼릉(사적)에 위치한 순릉(順陵)이다. 조선 9대 성종의 원비인 공혜왕후 한씨를 모신 능이다. 공혜왕후 순릉은 조성 당시부터 왕릉으로 만들어진 곳으로 봉분 주위에는 난간석이 둘러져 있고 각각 두 쌍의 석호와 석양이 봉분을 등지고 바깥쪽을 향하고 있다. 봉분 앞에는 혼유석과 장명등이, 그 좌우에는 망주석, 문.무인석, 석마가 배치되어 있다. <파주 삼릉(사적) 순릉> 조선 9대 성종의 첫번째…

  • 서울 선릉(宣陵, 사적), 조선 9대 성종과 계비 정현왕후의 능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선릉(宣陵, 사적)이다. 조선의 전성기를 이끈 9대 성종과 계비 정현왕후의 능이다. 예종때 반포된 <국조오례의>를 비교적 충실히 따랐으며 세조의 광릉과 마찬가지로 정자각을 중심으로 2개의 언덕에 봉분을 조성한 동원이강릉의 형식을 따르고 있다. 반면에 세조의 광릉과는 달리 봉문에 병풍석을 세웠으며 그 안에 십이지신상을 새겼다. 정현왕후의 능에는 병풍석을 세우지 않았다. 정현왕후는 중종의 어머니로 연산군을 몰아내고 왕위에…

  • 고양 서오릉 경릉(敬陵, 사적), 추존왕 덕종과 소혜왕후의 능

    경기도 고양시 용두동 서오릉(사적)에 있는 경릉(敬陵)이다. 추존왕 덕종(德宗)과 소혜왕후의 능이다. 왕릉의 조성을 간소하게 한 세조의 유지를 받들어 광릉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양쪽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조성한 동원이강릉 형식을 하고 있으며, 봉분에는 병풍석을 두르고 있지 않다. 경릉은 덕종이 세자의 신분으로 죽었기때문에 문석인만 두는 등 세자의 격식에 맞게 조성되었으며, 덕종으로 추존된 이후에도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