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유적지
-
고양 서오릉 창릉(昌陵, 사적) , 조선 8대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의 능
경기도 고양시 용두동 서오릉(사적)에 있는 창릉(昌陵)이다. 세조의 둘째아들로 왕위를 계승한 조선 8대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의 능이다. 왕릉의 조성을 간소하게 한 세조의 유지를 받들어 광릉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양쪽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조성한 동원이강릉 형식을 하고 있으며, 봉분에는 병풍석을 두르고 있지 않다. 예종은 20세의 젊은 나이에 재위 13개월만에 요절하였으며, 왕비인 안순왕후는 소혜왕후와 함께 연산군…
-
남양주 광릉(光陵, 사적), 조선 7대 세조와 정희왕후의 능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에 위치한 광릉(光陵, 사적)이다. 조선 7대 세조와 왕비 정희왕후 윤씨의 능이다. 조선 왕릉의 표준을 제시한 능으로 세조의 유명에 따라서 당나라의 능묘제도를 받아들인 통일신라시대 이후 왕릉과 귀족들의 무덤에 사용하였던 석실과 십이지신상 등을 새겼던 병풍석을 없애면서 왕릉조성에 들어가던 경비를 크게 줄였다. 왕릉을 수호하는 상징으로 새겼던 12지신상 대신에 난간동자석주를 새기고, 석실은 회격으로 바꾸었다. 또한 능을 배치함에…
-
구리 동구릉 현릉(顯陵, 사적), 조선 5대 문종과 현덕왕후의 능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동구릉(사적)에 있는 현릉(顯陵)이다. 세종의 맏아들로 훈민정음 창제를 돕고, 세자시절 많은 업적을 남긴 조선 5대 문종과 현덕왕후의 능이다. 동구릉 건원릉 동쪽 언덕에 봉분이 나란히 배치된 동원이강릉이다. 세조때 만들어져 예종 때 반포된 <국조오례의>에 따라 조성된 가장 오래된 왕릉이다. 문종의 능은 처음부터 이곳에 있었으나, 현덕왕후는 왕비가 되기 전에 단종을 낳은 직후 죽어 경기도 안산의 소릉에…
-
여주 영릉(英陵,사적), 조선 4대 세종과 소헌왕후 합장릉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에 있는 영릉(英陵, 사적)이다. 조선 4대 세종과 정비 소헌왕후 심씨의 능으로 조선 최초의 합장릉이다. 1469년 여주로 이장하면서 예종 때 반포된 <국조오례의>에 따라 병풍석과 석실제도를 폐지하고 회격으로 하는 조선 전기 능제의 기본을 이루었다. 석물은 난간석 영저(靈杵), 영탁(靈鐸), 지초문양(芝草紋樣)을 배제하고 구름 문양과 십이지신상만 조각해 조선 왕릉 난간석의 기본을 확정하였으며, 혼유석을 받치는 북모양의 석물인 고석을 기존의…
-
서울 헌릉(獻陵, 사적), 조선 3대 태종과 원경왕후의 능
서울 서초구 내곡동에 있는 조선 3대 태종과 원경왕후를 모신 헌릉(獻陵, 사적)이다. 한강 이남 대모산 남쪽편 기슭에 자리잡고 있다. 태종과 원경왕후의 봉분이 같은 언덕에 조선된 쌍릉으로 태종의 명에 따라서 고려왕릉의 불교적 요소를 제거하였다. <국조오례의>에 따라 조성된 조선중기 이후 정형화된 왕릉과는 달리 고려왕릉의 형태가 일부 남아 있다. 봉분 앞에 혼유석,장명등 등 석물이 따로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고려시대…
-
서울 정릉(貞陵, 사적),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의 능
서울 성북동 정릉2동 북악산 동쪽편 자락에 위치한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의 능인 정릉(貞陵, 사적)이다. 태조는 신덕왕후가 죽자 능을 덕수궁 부근(현 영국대사관부지)에 자신의 능역과 함께 조성하고 원찰로 부근에 흥천사를 세웠다. 조선이 건국하면서 처음으로 조성한 왕릉으로 고려의 왕릉제도를 참조하였다. 태종은 정릉을 현재의 위치로 옮기면서 석재 일부를 청계천 광통교를 보수하는데 사용하고 목재들을 태평관 건축에 사용하는 등 홀대하였다고 한다. 태종…
-
구리 동구릉 건원릉(健元陵, 사적), 조선을 건국한 태조의 능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사적)에 있는 조선을 건국한 태조(1335~1408년, 재위 1392~1398년)의 무덤인 건원릉(健元陵)이다. 조선을 건국한 이후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의 정릉에 이어 두번째로 조성되었다. 태조가 승하한 이후 풍수지리 등을 고려하여 명당자리를 찾아 6천여명의 인원이 동원되어 조성되었다. 건원릉은 고려 왕릉의 제도를 받아 들이면서 비슷한 시기에 살았던 공민왕의 헌정릉 양식을 많이 따랐으며 내부는 석실로 만들었다. 하지만 봉분 주위에 곡장으로 두르고…
-
보은 삼년산성(사적), 삼국시대 신라를 대표하는 산성
충북 보은군 보은읍 어암리에 있는 삼년산성(사적)이다. 삼국시대 신라가 쌓은 산성으로 비교적 이른 시기인 5세기 소지왕 때(470년) 쌓았다. 삼년산성이 위치한 보은읍은 상주와 청주,대전를 연결하는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다. 백두대간을 통과하는 중요한 교통로 중 한곳이며 삼국이 한강유역 패권을 다투던 시기에 백제 도읍이었던 공주와 부여를 직접 공략하기 위해 지나가야 하는 길로 전략적으로 중요한 곳이다. 주변에는 1,600여기에 이르는 많은 고분들이…
-
충청도 보은군 관아, 군수가 근무했던 동헌
충북 보은군 보은읍 삼산리 옛 보은군 관아터에는 군수(현감)가 공식 업무를 보던 건물이 동헌이 남아 있다. 건물이 세워진 처음 세워진 연대는 기록에 없으나 순조 때 크게 고쳐 지었다고 한다. 앞면 7칸, 옆면 3칸의 비교적 큰 규모의 건물이다. 오른쪽 4칸은 대청마루이며, 왼쪽 3칸에는 온돌방을 두고 있다. 대청마루 동쪽 1칸과, 안쪽을 높게 만들어 누마루 형태를 하고 있다. 대청마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