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조선후기
-
제천 청풍 도화리 고가, 충북지역 양반 가옥
충북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청풍문화재 단지에 있는 청풍 도화리 고가이다. 충주댐 건설로 수몰된 청풍면 도화리 마을에 있던 가옥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ㄷ’자형을 건물배치를 하고 있는다. 가운데 3칸을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양쪽에 날개채를 두고 있다. 왼쪽 날개채는 사랑채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이며 끝부분에 툇마루가 있는 사랑방이 있다. 반면에 오른쪽 날개채는 온돌방과 부엌으로 되어 있는데, 안채 역할을 했던…
-
제천 청풍 한벽루(보물), 대표적인 조선시대 관아 누각
충북 제천시 청풍면 읍리 청풍문화재단지에 있는 한벽루(寒碧樓, 보물)이다. 고려말 청풍현이 군으로 승격한 것을 기념하기 하여 관아 객사 옆에 처음 세워졌다. 현재의 건물은 조선후기 인조 때 다시 세운 것이다. 관아가 있던 지역이 충주댐 건설로 수몰되면서 남한강이 내려다 보이는 언덕으로 옮겨졌다. 관동팔경 유람길 마지막 행선지 중 한곳으로 죽령을 넘어 단양군을 지나 이 곳에 묵으면서 남한강 경치를 감상했던…
-
제천 청풍 응청각, 청풍도호부 관아 객사에 딸린 작은 정자
충북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청풍문화재단지에 있는 작은 정자인 응청각(凝淸閣)이다. 청풍도호부 관아 객사 누각이었던 한벽루(보물) 옆에 있던 것을 충주댐 건설로 수몰되면서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관아에서 주최하던 각종 연회에 이용되었던 한벽루와는 달리 응청각은 조선시대 중요 교통로에 있었던 청풍도호부를 방문하는 고위 인사들이 묵었던 숙소로 보인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이며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2층 누각 형태의 정자이다.…
-
제천 수산 지곡리고가, 선비계층이 살았던 작은 규모의 한옥
충북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청풍문화재 단지에 있는 수산 지곡리 고가이다. 충주댐 건설로 수몰된 수산면 지곡리 마을에 있던 가옥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자존심이 높았던 선비계층 가옥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가옥은 안채, 곡간채, 행랑채로 구성되어 었다. 안채는 ‘ㄱ’자형으로 지어진 팔작기와집이며, 문간채와 곡간채는 초가를 얹은 ‘-‘자형 건물로 간소하게 지었다. 남녀구별을 강조해서 안마당은 출입문과 담장으로…
-
단원 김홍도가 그린 풍속화 화첩(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단원풍속도첩(보물)이다.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천재 화가 김홍도가 그린 풍속화 25점이다. 그림은 종이에 먹과 옅은 채색을 하여 그린 작은 크기의 그림이다. <씨름>, <무동>, <대장간> 등 대표적인 풍속화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눈에 익은 그림들이다. 서민들이 살아가는 일상의 모습을 간략하면서도 익살스럽게 표현하고 있다. 배경을 간단하게 처리하고 장면만을 강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생활의 정감이 배어나고 생동감이 넘친다. 짜임새 있는 구성과…
-
혜원 신윤복이 그린 풍속화 화첩(국보)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풍속화 화첩(국보)이다. 조선후기 화가 신윤복(1758~ ?)이 그린 풍속화로 <주사거배(酒肆擧杯)>, <홍루대주(紅樓待酒)> 등 30여점으로 구성된 화첩이다. 한량과 기녀를 중심으로 남녀간의 애정, 낭만, 양반사회의 풍류 등을 표현하고 있는데, 섬세한 필선과 아름다운 색채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등장인물들은 선정적인 느낌을 주고 있으며 주위 배경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2016년 가을 중앙박물관에서 기획한 특별전 <미술 속 도시, 도시…
-
창녕 석빙고(보물), 창녕현 관아에서 설치했던 얼음창고
경남 창녕군 창녕읍 송현리에 있는 석빙고(보물)이다. 창녕현 관아에서 만들어 운영했던 얼음 창고이다. 얼음은 국왕에 진상할 물품을 운송할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석빙고는 주로 안동, 현풍, 청도, 영산 등 낙동강 내륙수운에 위치한 고을에 남아 있다. 내부는 직사각형 평면이며 물이 빠지는 배수로, 공기가 드나드는 환풍구 등을 두고 있다. 석빙고 앞에는 조선후기 영조 때 창녕현감이 세웠다는 기록이 있는 비석이…
-
달성 현풍 석빙고(보물), 조선시대 얼음을 보관하던 창고
대구 달성군 현풍면 상리에 위치한 현풍 석빙고(보물)이다. 현풍현 관아에서 운영하던 것으로 동쪽 비슬산에서 흘러 내려오는 현풍천 옆에 있다. 현풍 사직단이 있는 작는 구릉 아래 남북 방향으로 만들었는데, 출입구는 바람이 통하지 않는 언덕 아래쪽을 향하고 있다. 길이 9 m, 너비 5 m, 높이 6 m의 크지 않은 규모이다. 보수작업 때 발견된 비석에 영조 때 만들어졌다는 기록이…
-
달성 이양서원, 조선초 문신 곽인방을 모신 서원
대구 달성군 현풍면 대리에 위치한 이양서원(尼陽書院)이다. 조선 세조 청백리로 알려진 곽안방과 곽지운, 곽규를 모시는 곳이다. 조선 후기 숙종때 처음 세워졌으며 구한말 서원훼철령으로 없으졌다가 복원되었다. 학문적인 업적을 남긴 학자를 추모하기 위해 지역유림들이 세운 일반적인 서원과는 달리 문중에서 훌륭한 조상을 모시기 위해 세워진 사당성격이 강한 서원이다. 동쪽에 사당인 청백사를, 서쪽에 강당인 경렴당을 두고 있는 동묘서학의 건물배치를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