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국보

  •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국보, 1962-1)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국보, 1962-1)이다. 한 다리를 다른 쪽 무릎위에 얹고 손가락을 빰에 댄 채 생각에 잠긴 모습을 하고 있는 높이 80 cm의 반가사유상이다. 일제강점기인 1912년 조선총독부에서 일본인으로부터 입수하여 박물관에 기증하였다. 머리에 화려한 관(冠)을 쓰고 있으며, 관에서 나온 2가닥의 장식이 어깨까지 늘어져 있다. 관에는 해와 달 장식이 있어 ‘일월식보관’이라 하며, 사산조페르시아에서 유래한 것이라 한다. 전체적으로…

  • [중앙박물관 사유의 방]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반가사유상은 한 다리를 다른 쪽 무릎 위에 얹고, 손가락을 빰에 댄 채 생각에 잠긴 모습으로 인간의 생로병사를 고민하며 명상에 잠긴 싯다르타 태자의 모습을 표현한 불상이다. 인도에서는 3세기경 간다라와 마투라 지역에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불상의 협시보살에서 출발하여 나중에는 단독 불상의 형태로 바뀐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에는 남북조시대에 크게 유행했으며 5세기말 운강지역에서 미륵불과 삼존상의 협시보살이 형태로 나타나며, 6세기 북제(北齊)에서…

  • 부안 내소사 동종 (국보)

    전북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에 있는 ‘부안 내소사 동종'(국보)이다. 이 종은 고려 때 내변산에 있는 청림사에서 만든 것이다. 높이 1.03m의 전형적인 고려후기 종이 형태를 하고 있다. 종의 가운데 삼존불상을 조각하였는다. 본존불은 연꽃대좌 위에 앉아 있고 좌우에 협시상은 서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몸체에 새겨진 기록에 따르면 1222년 한중서라는 장인이 700근의 무게로 제작하였다고 한다. 고려후기에 만들어진 동종…

  • 청자 참외모양 병 (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참외모양병'(국보)이다. 개성시 고려 인종 장릉에서 인종의 시책(諡冊)과 함께 출토되었다고 전해진다. 고려청자 전성기였던 12세기에 만들어진 참외모양을 하고 있는 청자병이다. 아가리부분은 활짝핀 참외꽃 모양을, 몸통은 참외 모양을 하고 있다. 장식이나 무늬가 없지만 청자고유의 빛깔과 단정하고 세련된 조형미로 당시 귀족들을 취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뛰어난 색과 완벽한 균형미를 잘 갖추고 있는 걸작으로 비슷한 형태의…

  • 청자 음각연화당초문매병(국보), 연꽃넝쿨무늬매병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음각연꽃넝쿨무늬매병'(국보)이다. 고려시대 12세기에 만든 청자 매병이다. 작은 아가리와 풍만한 어깨와 몸통, 잘록한 허리 등 고려청자 매병에서 볼 수 있는 한국적인 특징들을 잘 갖추고 있는 작품이다. 몸통에는 연꽃넝쿨무늬가 음각으로 표현되어 있다. 맑고 투명한 회청색 유약이 고르게 씌워져 있다. 전남 강진 가마에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비색청자로 잘 알려진 고려 순청자 전성기 작품으로 추정하고…

  •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국보), 물가풍경무늬 정병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국보)이다. 고려시대 12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물가의 풍경이 은입사기법으로 그려져 있다고 해서 물가무늬정병이라고 불린다. 물가무늬 풍경은 버드나무와 물위를 한가로이 오가는 오리와 하늘을 나는 새들이 있는 풍경을 그린 그림을 장식한 것을 말하며 포류수금문(蒲柳水禽文)이라고 한다. 고려시대 금속제 정병이나 청동향완, 도자기 등에 많이 쓰였던 무늬이다. 이런 무늬를 그린 정병은 다양한 형태로 많이 만들어…

  •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국보)이다. 국내에 남아 있는 고려시대 범종 중 가장 큰 규모로 높이 1.33m이다. 꿈틀거리는 용모양이 새겨진 종의 고리인 용뉴는 살아 움직이는 듯하며, 소리울림을 도와주는 대나무 모양의 용통(甬筒)이 있다. 몸통 위쪽 띠 아래에는 4곳에 사각형의 유곽이 있는데, 돌출된 연꽃 모양의 종유를 생동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 유곽 아래에는 연꽃모양의 당좌를 2개 두고 있으며,…

  •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국보), 통일신라 전기 삼층석탑

    국립경주박물관 마당에 세워져 있는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국보)이다. 고선사 절터에 있던 것을 경주 덕동댐 건설로 절터가 물에 잠기자 1975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1914년 절터에서 원효대사의 업적을 기리는 서당화상비가 발견되어 원효대사가 입적한 686년 이전부터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쌓아 놓은 전형적인 삼층석탑 형태를 하고 있다. 높이 10.2 m의 상당히 큰 규모의…

  •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국보),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금동불상

    국립 경주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국보)이다. 이 불상은 경주 백률사에 모셔져 있던 것을 일제강점기에 경주박물으로 옮겨졌다. 높이 1.7 m로 현존하는 통일신라 금동불상 중에서는 가장 큰 규모이다. 현재는 약단지를 쥔 손이 없지만, 옛 사진에 약단지를 들고 있는 모습이 남아 있다. 원래는 금도금을 하였던 것을 후대에 금도금이 없어지고 채색을 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머리는 신체에 비해 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