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물
-
정선 필 해악전신첩(보물)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문화재단에서 소장하고 있는 <정선 필 해악전신첩海嶽傳神帖>(보물)이다. 금강산을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 절경을 진경산수화 형식으로 그린 그림첩이다. 관동 지역 해안과 산악을 여행하며 그린 풍경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 현장감과 사실성이 뛰어나다. 총 38폭 중 산수화가 21폭, 나머지는 제목, 서문, 시문, 발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마다 김창흡과 이병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정선이 72세에 그린 말년작으로 노년의 화풍이…
-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보물)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문화재단에서 소장하고 있는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楓岳內山摠覽>(보물)이다. 겸재 정선이 60~70대인 1740년대에 그린 그림이다. 내금강의 가을철 전 영역을 포괄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녹색, 황색, 적색, 흰색 등의 다채로운 색채를 채용해 단풍 든 풍경과 산림, 암봉의 힘찬 기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장안사, 삼불암, 표훈사, 금강대, 정양사, 만폭동 등 주요 경승지 옆에 명칭을 일일이 적어 두어 그림을 감상하는…
-
정선 필 경교명승첩(보물)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정선 필 경교명승첩”(보물)이다. 서울 근교와 한경변 명승지를 그린 정선의 작품이다. 양수리 부근부터 행주산성 인근까지 약 30여곳을 화첩에 담았다고 전해지며, 이는 마치 배를 타고 한강 경관을 여행하는 느낌이 들도록 구성되었다. 화풍적인 면에서 정선 그림의 특징적인 요소를 두루 갖추었다. 특히 한강변의 명승을 그린 진경산수도에는 밝고 산뜻한 녹색과 연두색으로 칠하여 산뜻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보물)
서울 종로구 청와대 뒷편에 있는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보물)이다. 9세기 통일신라 시대에 조성된 불상으로, 석굴암 본존상의 전통을 계승하며 이상적인 불교조각미를 보여준다. 자비로운 얼굴과 균형 잡힌 신체, 독특한 사각형 대좌 등에서 전성기 양식을 확인할 수 있다. 항마촉지인의 손모양과 삼도, 백호 등 불상의 세부도 섬세하다. 일제강점기 경주에서 서울로 옮겨졌다. 머리와 몸체가 일체로 완전하게 갖추고 있다. 연꽃문양을 새긴 사각형대좌는…
-
김중만 초상(보물)
경기도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김중만 초상(보물)’이다. 김중만은 숙종 때 무과에 합격한 후 이인좌의 난(1728)을 평정했으며, 후에 충청도수군절도사를 지낸 인물이다. 큰 초상화는 관모와 짙은 초록색 관복을 입고 의자에 앉은 모습이며, 흉배의 학 문양으로 문관 종2품 시기의 초상임을 알 수 있다. 나머지 하나는 공신화첩으로 한쪽에는 선생의 공적을, 한쪽에는 선생의 초상을 그려 넣은 것이다. 다른 하나는 액자형태의 그림이다. 높은…
-
박문수 초상 (1994, 보물)
조선 영조 때 문신 박문수(1691–1756)의 초상화이다. 박문수는 1728년 이인좌의 난 진압에 공을 세운 후, 38세의 나이로 분무공신이 되었다. 이때 그려진 공신상 2점이 전해져 오고 있다. 큰 초상화는 38세 당시의 전신상으로, 전형적인 공신상 형식을 갖추고 있다. 박문수는 초록색 관복에 학과 구름무늬 흉배, 금장 각대를 착용하고, 호피 깔린 의자에 앉아 단정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 초상화는 수준…
-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및 광배(보물)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물걸리 절터에 남아 있는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및 광배”(보물)이다. 불상은 없지만 광배와 석조대좌가 온전히 남아 있다. 배모양의 광배는 전체에 걸쳐 화려하게 조각되어 있다. 안쪽에는 화려한 넝쿨무늬가, 바깥쪽에는 불꽃무늬가 섬세하게 조각되어 있다. 대좌는 8각형 평면에 상대, 중대, 하대로 구성되어 있다. 옆에는 다른 불상이나 대좌와 동일한 양식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통일신라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
홍천 물걸리 석조여래좌상(보물)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물걸리 절터에 남아 있는 “홍천 물걸리 석조여래좌상”(보물)이다. 얼굴은 심하게 마모되어 알아볼 수 없으며 머리에는 상투모양의 육계가 있다. 손은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어 석가여래를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통일신라 전성기 불상에 비해 평면적이며 왜소한 느낌을 주고 있다. 파손된 부분이 많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장식성이 강조되는 통일신라 후기 석조불상의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대좌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