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왕릉

  • 고양 서삼릉 효창원(孝昌園), 조선 22대 정조의 원자 문효세자의 묘

    경기도 고양시 서삼릉(사적)에 있는 효창원(孝昌園)이다. 조선 22대 정조의 원자인 문효세자의 묘이다. 원래 서울 용산구 청파동 효창공원내에 있었으나 일제강점기인 1944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어린 나이(5세)에 죽었으며 효창묘로 조성되었으며 고종대에 효창원으로 승격되었다. 한양도성에서 가까운 능역이었던 효창원에는 순조의 후궁 숙의 박씨와 그의 소생 영온옹주, 문효세자의 생모 의빈성씨의 묘소와 함께 있었다. 지금은 서삼릉 내 큰아버지인 의소세손의 의령원 앞에 자리잡고…

  • 화성 융릉(隆陵,사적), 추존의황제 장조(사도세자)와 헌경의황후(혜경궁홍씨)의 능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에 있는 융릉(隆陵, 사적)이다. 사도세자로 잘 알려진 조선 22대 정조의 아버지인 장헌세자와 그의 비 혜경궁 홍씨의 합장릉이다. 원래 양주 배봉산에 있던 사도세자의 무덤인 영우원을 정조가 즉위하면서 이곳 화산으로 옮기고 현륭원(顯隆園)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세자의 무덤인 원(園)의 형식을 갖추었지만 봉분에 연꽃이 새겨진 병풍석을 설치하는 등 왕릉처럼 공간을 꾸몄다. 정조의 정성이 깊었던지 서쪽편 정조대왕의 건릉보다도 사도세자의…

  • 고양 서오릉 순창원(順昌園, 사적), 조선 13대 명종의 아들 순회세자와 공회빈의 묘

    경기도 고양시 신도동 서오릉(사적)에 있는 순창원(順昌園)이다. 조선 13대 명종의 큰 아들인 순회세자와 공회빈 윤씨의 묘이다. 원래는 순회묘라 불리었으나 순창원으로 바뀌었다. 세자와 세자빈이 같이 묻힌 합장묘이다. 봉분 주위로 담장을 둘렀으며 문인석일 비롯한 석물들이 배치되었으며 봉분 아래에는 정자각이 있다. <고양 서오릉 순창원> 고양 서오릉에 있는 순창원. 명종의 아들로 어린 나이에 요절한 순회세자 부부가 이곳에 묻혀 있다. <순창원…

  • 화성 건릉(健陵, 사적), 조선 22대 정조와 효의왕후의 능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에 있는 건릉(健陵)이다. 조선 22대 정조와 효의왕후을 모신 능으로 화산 서쪽편 언덕에 자리잡고 있다. 정조의 유지에 따라 왕릉의 조성은 융릉의 예를 따르고 있다. 원래는 융릉 동쪽 언덕에 안장되었는데, 풍수지리상 좋지 않다고 하여 효의왕후가 죽은 화산 서쪽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왕과 왕비가 하나의 봉분에 묻힌 합장릉이다. 현릉과 융릉(사적)는 정조가 즉위한 후 사도세자를 복권하고 양주에…

  • 고양 서오릉 홍릉(弘陵, 사적), 조선 21대 영조의 원비 정성왕후의 능

    경기도 고양시 신도동 서오릉(사적)에 있는 홍릉(弘陵)이다. 조선 21대 영조의 원비 정성왕후가 모셔진 능으로 서오릉에서 가장 후대에 조성되었다. 영조는 이곳에 왕비의 능을 조성하면서 그 옆에 자기가 묻힐 자리를 마련해 두었기 때문에 쌍릉 형식이 반영되어 있다. 정성왕후는 영조가 연잉군시절에 결혼하여 66세에 죽었는데, 왕비시절에 선왕인 숙종과 경종의 부인을 잘 모시고 영조의 어머니인 숙빈최씨를 모시는 사당인 육상궁을 세우는데 많은…

  • 구리 동구릉 원릉(元陵, 사적), 조선 21대 영조와 계비 정순왕후의 능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동구릉(사적)에 있는 원릉(元陵)이다. 조선 21대 영조와 계비 정순왕후가 모셔진 능이다. 왕과 왕비의 능이 나란히 배치된 쌍릉 형식으로 1758년(영조34)에 재정리하여 완성한 <국조상례보편> 왕릉제도를 충실히 구현하였다. 영조는 18세기의 절반인 52년을 재위했으며, 강력한 왕권을 휘둘렀던 왕으로 평가받기는 하지만, 그 또한 당쟁에 휘말려 아들 사도세자를 죽음에 이르게 했다. 원비인 정성왕후의 능인 홍릉을 숙종의 능이 있는 서오릉에…

  • 구리 동구릉 혜릉(惠陵, 사적), 조선 20대 경종의 원비 단의왕후의 능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동구릉(사적)에 있는 혜릉(惠陵)이다. 조선 20대 경종의 첫번째 비인 단의왕후의 능이 모셔진 단릉이다. 조선후기 당쟁이 극심했던 숙종대에 장희빈의 아들인 경종과 함께 세자빈으로 어려운 시절을 보내다 경종이 즉위하기 전에 죽었다. 세자빈 시절에 인품이 좋게 평가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세자빈 신분으로 죽었기 때문에 세자빈 무덤으로 조성되었다가 경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왕후로 추존되었다. 사후에 추존되는 경우 원래 석물을…

  • 고양 서오릉(사적) 대빈묘, 조선 19대 숙종 후궁 희빈 장씨 묘

    경기도 고양시 신도동 서오릉(사적)에 위치한 대빈묘(大賓墓)이다. 조선 19대 숙종때 왕비까지 되었던 희빈 장씨의 무덤이다. 왕비였다가 사약을 받고 죽었으며 무덤은 경기도 광주에 있던 것을 1960년대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무덤은 봉분 주위에 곡장을 두르고 앞에는 혼유석과 비석이 세워져 있으며, 문석인 1쌍이 무덤 앞에 세워져 있다.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무덤은 능, 세자나 세자빈 등은 원, 약간 격이 낮은…

  • 고양 서오릉 익릉(翼陵, 사적), 조선 19대 숙종의 비 인경왕후의 능

    경기도 고양시 신도동 서오릉(사적)에 있는 익릉(翼陵)이다. 숙종의 원비 인경왕후 김씨의 능이다. 숙종 때 왕릉의 석물 등을 간소화하라는 지침이 만들어지지 이전에 세워진 것으로 『국조오례의』을 따르면서도 조선후기 왕릉 양식이 반영되어 있다. 봉분에는 둘레석을 조성하지 않았으며 12간지가 새겨진 12칸의 난간석을 둘렀다. 정자각은 정전 양쪽에 1칸씩 익랑을 두고, 앞쪽의 배위청도 1칸 더 달아내었다. 비슷한 시기에 조성된 현종의 숭릉과 인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