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중앙박물관
-
[중앙박물관 특별전, 고려 상형청자] 신앙으로 확장된 세상
청자는 고려인들의 불교적 세계관을 담는 의례 도구이자, 도교·민간 신앙의 길상과 기원의 상징물, 그리고 사후 세계를 염원하는 장례용 기물까지 신앙적 바람을 표현하는 영역으로 확장되었다. 의례용 기물과 종교적 소재의 그릇이 제작되었고, 불상에도 적용되기도 했다. 특히 상형청자는 공예적 기능을 넘어 종교적 상징과 시각적 경험을 전달하며, 고려인의 창의성과 청자의 표현력을 잘 보여준다. 전시에는 <청자 사라모양 주자(국보)>, <청자 나한상(국보)> 등…
-
[중앙박물관 특별전, 고려 상형청자] 생명력 넘치는 형상들
상형청자는 실제 사물이나 동물, 식물, 인물의 모습을 본떠 만든 청자를 말한다. 단순히 쓰임새를 위한 그릇을 넘어, 장식적·상징적 의미를 담아 제작된 경우가 많다. 병, 주전자, 향로, 연적 등 기본 그릇에 새, 짐승, 과일 등의 형태를 더하여 새로운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주입구, 손잡이 등을 실제 혀앙과 결합시켜 사질적, 입체적으로 제작한다. 기능과 장식을 결합하여 자유롭고 상징적인 조형미를…
-
[중앙박물관 특별전, 고려 상형청자] 개경의 중국 자기와 고려 상형청자
고려시대는 중국 자기 문화와 활발히 교류한 시기였다. 고려청자가 독자적으로 발전하기도 했지만, 당·송·원으로 이어지는 중국 자기의 기술과 미학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 송나라 월주요의 청자, 정요의 백자, 관요와 여요의 청자 등이 고려에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월주요의 청자는 고려청자 제작기법, 조형미 등에서 직접적인 모델이 되었으며 고려청자 고유의 비색청자로 발전할 수 있었다. 고려는 송, 원과 교역하면 중국 자기를…
-
[중앙박물관 특별전, 고려 상형청자] 상형토기와 상형청자
2004년 겨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푸른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특별전이 있었다. 상형청자는 고려청자의 예술성과 기술적 성취를 보여주는 문화유산으로, 비색 유약과 조형미가 특징이다. 다양한 기종은 실용성과 미감을 동시에 갖추었으며, 고려인의 풍부한 감성이 더해져 독창적인 예술로 발전했다. 고려 청자를 대표하는 형태인 상형청자 중 걸작들을 한번에 모아 살펴볼 수 있었다. 상형청자를 단독 주제로 제작과 향유, 소재와 쓰임, 종교적 맥락까지 체계적으로 조명했다.…
-
[중앙박물관 특별전,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 또 다른 세상과 마주한 사람들
북아메리카 대륙 원주민들은 전통적으로 초원, 사막, 삼림, 북극권 등 다양한 자연환경에서 살아왔다. 19세기 후반~20세기에 들어 원주민들은 강제 이주와 보호구역 정책으로 원래 살던 곳에서 밀려났다. 이로 인해 본래 환경과 다른 척박한 땅에서 살아야 했고, 자금자족의 생계 기반이 무너졌다. 20세기 초에는 대부분 임금 노동이나 농업 보조금, 수공예품 판매에 의존했으며 점차 광업, 벌목, 군 목무, 도시노동에 참여하면서 도시로…
-
[중앙박물관 특별전,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 하나가 되는 의식
북미 원주민들의 영적인 삶은 자연과 깊이 연결되어 있으며, 공동체적이고 조상과의 연속성을 중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부족마다 신화와 의례를 발전시켰고, 탈·카치나·그림·춤 등을 통해 영적 삶을 표현했다. 호피족Hopi은 미국 남서부 애리조나주 북동부에 주로 거주하는 푸에블로 계통의 원주민으로, 영적인 전통과 농경 생활을 깊이 간직한 부족이다. 오늘날에도 전통 의례와 카치나 신앙을 이어가고 있으며, 미국 내에서도 가장 전통 문화를 잘…
-
[중앙박물관 특별전,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 일상의 예술, 공예
북미 원주민의 공예는 자연 환경과 생활 방식, 그리고 신앙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발전했다. 나무, 뼈, 가죽, 조개, 돌, 구리 등 각 지역의 자연자원을 활용하여 실용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지닌 물건들을 만들었다. 남동부, 남서원에서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식기, 저장용 항아리같은 토기 공예가 발달했다. 남서부 푸에블로족은 면화로 옷김을 제작했으며 갈대, 풀, 껍질로 만든 바구니 공예가 발달했다. 대평원에서는 들소, 사슴 가죽으로…
-
[중앙박물관 특별전,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 하늘과 땅에 감사한 사람들
2024년 가을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 특별전이 있었다. 북아메리카대륙에 살았던 원주민에 정체성, 삶, 문화 등을 보여주는 내용으로 전신가 준비되었다. 북아메리카는 지역이 넓고 자연 환경도 다양하다. 북극에 가까운 지역은 춥고, 남부는 건조했다. 드넓은 대평원, 삼림, 사막, 고원, 험준한 록키산맥, 해안 등 다양한 자연환경에 적응하며 살았던 원주민 또한 다양한 문화와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전시를 통해 북아메리카…
-
[중앙박물관특별전, 탕탕평평] 질서와 화합의 탕평
정조는 현릉원 자리에 있었던 수원읍치를 팔달산 아래로 옮기면서 화성을 축성하고 신도시를 건설하고 여러 차례 행차하였다. 이는 정조의 개혁정치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는데, 당시 기득권세력이었던 노론세력을 견제하고 강력한 왕권을 보여주고자 함이었다. 화성행차에는 많은 인원과 물자가 동원되었는데, 당시 행렬에 동원되었던 6,000여명의 인원 중 절반이 정조의 친위부대이 장용영 군사였다. 오늘날 ‘국군의 날’ 행사가 갖는 무력시위의 성격이 강했으며, 일반백성들이 국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