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목조건축
-
안동 봉정사 대웅전(국보)
경북 안동시 서후면에 있는 봉정사 주불전인 대웅전(국보)이다. 1962년 수리과정에서 발견된 기록에 따르면 조선전기 이전에 세워진 건물로 추정되고 있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3칸 규모이다. 건물 앞에는 축대를 높이 쌓고 그 뒷면에는 좁은 마루를 깔고 난간을 세웠으며 내부도 마루를 깔았다. 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다포계 공포이며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다포계 공포의 구성이나 건물의 형태 등에서 조선초기 이전의…
-
안동 봉정사 만세루
경북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에 있는 만세루이다. 대웅전 마당을 출입하는 2층 누각 형태의 문루이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3칸 규모이며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가운데 출입문이 있는 2층문루의 격식을 잘 갖추고 있다. 조선후기 숙종 때 처음 지어진 건물로 당시의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문루 내부는 상당히 넓은 편이며 사찰을 찾은 신도들이 경치를 감상하면서 휴식을 취하기 좋은 공간이다.…
-
안성 객사 정청(보물)
경기 안성시 보개면 양복리에 있는 ‘안성 객사 정청(보물)’이다. 원래 안성읍내에 있던 것을 이곳저곳 옮겨다니다 1995년 수리.해체를 한 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고려시대 1363년 이전에 처음 세워졌으며 여러 차례 수리를 거치고 이전했음에도 주심포 공포 등 고려시대 건축양식이 잘 남아 있다. 현존하는 객사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안성 객사 정청(보물)> 안성객사 중앙 위치한…
-
의성 사촌마을 안동김씨 종택
경북 의성군 점곡면 사촌마을에 있는 안동김씨 종택이다. 의성 만취당(보물) 옆에 위치하고 있다. 입향조인 김자첨이 1392년 사촌마을로 이주하면서 정착했다고 한다. 서애 유성룡의 외가이자 태어난 곳이기도 하다. 만취당과 비슷한 시기인 1584년에 처음 지어졌으나 원래 건물은 남아 있지 않고 1959년에 중건하였다고 한다. <의성 사촌마을 안동김씨 종택> <공간배치> <대문채> 건물은 안채와 사랑채, 대문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와 사랑채는 ‘ㅁ’자형을 이루고…
-
의성 사촌마을 만취당(보물)
경북 의성군 점곡면 사촌마을에 있는 고택인 만취당(晩翠堂, 보물)이다. 김사원이 1582년에 지은 건물로 자신의 호를 따서 만취당이라 불렀다. 원래는 후진을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서원 강당 규모로 크게 지었는데 후대에 마을 안동김씨 종가의 모임 장소로 사용되었다. ‘만취당’이라 적힌 현판은 석봉 한호의 친필이다. 대청마루에는 이곳을 찾은 온계 이해, 서애 류성룡 등이 남긴 글들이 남아 있다. 영조 때 동쪽으로…
-
의성 고운사 가운루(駕雲樓)
경북 의성군 단촌면 등운산 고운사에 있는 가운루(駕雲樓)이다. 사찰 입구 계곡에 세워진 누각 형태의 강당 건물이다. 언제 처음 지어졌는지는 알 수 없지는 여려 차례 수리를 거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원래는 누각 아래를 지나 계곡을 건너는 다리가 있는 출입문 기능도 있었는데 지금은 앞쪽에 세워진 다리를 통해 출입한다. 상당히 큰 규모의 강당 역할을 했던 건물인데 지금은 사찰을…
-
의성 고운사 연수전(보물), 기로소 입소를 기념하여 지은 왕실 건물
경북 의성군 단촌면 등운산 고운사에 있는 연수전(延壽殿)이다. 이 건물은 영조의 기로소 입소를 기념하고 기로소에 입소한 역대 왕의 이름을 적은 어첩을 봉안하기 위해 ‘어첩봉안각’이라는 이름으로 세워졌다. 이후 고종의 기로소를 입소를 기념하기 위해 건물을 중수하면서 고종으로 부터 ‘연수전’이라는 이름을 받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사찰내 기로소 건물을 순천 송광사와 의성 고운사 2곳에 있었는데 현재는 고운사 연수전만 그 형태를…
-
원주 강원감영 포정루, 관아 출입문
강원도 원주시 일산동에 있는 강원감영 포정루이다. 조선시대 원주에 설치되었던 강원감영을 출입하는 문루이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3칸의 전형적인 2층 문루 건물이다. 1층 가운데 칸에 널문을 달았으며 2층은 난간을 두르고 사방을 개방하였다. 선화당과 함께 17세기에 지은 건물로 선화당과 함께 지금까지 남아 있는 옛 강원감영 건물이다. <원주 강원감영 포정루> <출입문과 기둥이 있는 1층> <포정루 현판> <안쪽에서 본…
-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보물), 관찰사가 집무를 보던 관아 건물
강원도 원주시 일산동에 있는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보물)>이다. 조선시대 강원도 관찰사가 집무를 보던 강원감영 정당(正堂) 건물로 그 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기록에 따르면 1664년 경에 건립된 보인다. 현재 위치에 세워진 이래 여러 차례 중수가 있었지만 실물이 그대로 계승되어 왔으며 조선시대 감영 선화당 건물 중에서 가장 큰 규모를 하고 있다.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보물)> 선화당은 앞면 7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