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비석/금석문
-
대구 무술명 오작비 (보물)
대구 경북대학교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대구 무술명 오작비'(보물)이다. 1946년 대구시 대안동에서 발견되었다. 비에는 제방을 쌓은 이력과 책임자, 동원된 인력 등이 기록되어 있다. 높이 103.0cm 길쭉한 모양의 자연석으로 아래가 네모나고 윗부분이 둥근 형태를 하고 있어 당시 충국 비석형태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삼국시대 신라의 수시시설이나 사회체제 등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글자는 남북조시대 북조풍의 해서체이다. 문장은 이두문과…
-
임신서기석 (보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임신서기석’(보물)이다. 1934년 경주시 현곡면 석장서 절터 부근에서 발견되었다. 돌의 길이는 34.0cm 정도이고 앞면에 74자를 새겼다. 글자가 또렷히 남아 있어 판독에 이견이 없다. 당시 젊은 학생들이 다양한 고전을 읽으면서 공부를 했다는 내용도 있다. 6~7세기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 비석은 신라 화랑을 미화하는 측면에서 상당히 강조되었다. 진흥왕순수비와 함께 신라를 대표하는 비석이라 할 수 있다.…
-
경주 명활성비, 성을 쌓으면서 세운 비석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경주 명활성비’이다. 경주 동쪽을 방어하던 명활성을 축성하면서 세운 비석으로 1988년 인근 포도밭에서 발견되었다. 비석은 높이 69.8cm 정도이며, 땅에 묻혀 있어 보존상태가 좋다. 비석에는 총 148자의 글자가 새겨져 있다. 첫머리에 ‘신미년’이란 글자가 있어 남산신성비로 여겨졌지만 그 구성과 내용이 다르고 내용 등으로 볼 때 명활성을 쌓으면서 세운 비석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경주…
-
경주 남산신성비, 성을 쌓고 그 이력을 기록한 비석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남산신성비’이다. 591년(진평왕13) 신라 왕경인과 지방민을 동원하여 경주 남산에 신성을 쌓고 건립한 비석이다. 비문에는 성을 서약 부분으로 시작하여 성을 쌓은 것과 관련된 사람들과 공사한 거리 등의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신라는 국가정책 등을 국민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해 글자를 새겨놓은 비석을 많이 활용했는데, 그 내용은 법의 시행, 국왕의 순시, 댐과 성 등 토목사업의 과정과 책임소재…
-
포항 중성리 신라비 (국보), 가장 오래된 신라비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포항 중성리 신라비'(국보)이다. 2009년 포항시 흥해읍 중성리서 발견된 석비(石碑)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신라비이다. 모양이 일정치 않은 돌에 203자의 비문이 새겨져 있다. 비문은 글자가 뚜렷하게 남아 있어 대부분 판독이 가능할 정도이다. 신라 관등제 성립과정, 신라 6부의 내부구조, 신라의 지방통치와 분쟁 해결절차 등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내용을 알려주고 있다. 글씨체는 예서인데 다른 신라비와…
-
사천 선진리 신라비
국립진주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사천 선진리 신라비’이다. 사천 향도들이 세운 통일신라시대 비석이다. 경남 사천시 선진리성에서 발견되었는데 1/4 정도만 남아 있다. 중국 당나라 측천무후가 제정하여 사용했던 무주신자가 새겨져 있는 비석이다. 사천 선진리 신라비, 통일신라신라 제36대 혜공왕(재위 765~780) 대에는 귀족간의 격렬한 대립으로 정치가 어지러웠다. 정치적인 혼란을 불교에 의지하여 극복하고자 승려와 지방관으로 구성된 향도가 이 비석을 제작하였다. 경상남도 사천시…
-
포항 중성리 신라비(국보), 2014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서 소장하고 있는 ‘포항 중성리 신라비'(국보)이다. 2009년 포항시 흥해읍 중성링서 발견된 석비(石碑)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신라비이다. 모양이 일정치 않은 돌에 203자의 비문이 새겨져 있다. 비문은 글자가 뚜렷하게 남아 있어 대부분 판독이 가능할 정도이다. 신라 관등제 성립과정, 신라 6부의 내부구조, 신라의 지방통치와 분쟁 해결절차 등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내용을 알려주고 있다. 글씨체는 예서인데 다른…
-
울진 봉평 신라비(국보), 2011년
경북 울진군 죽변면 봉평리에 있는 울진 봉평 신라비(국보)이다. 삼국시대 신라 법흥왕 때(524년경)에 세운 석비이다. 비는 자연석을 그대로 사용했는데 사다리꼴 형태를 하고 있다. 한쪽 면에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400자 정도이다. 울진 지역에 신라에 복속되면서 주민들이 저항하자 신라에서 육부회의를 열어 책임자에게 형벌을 내리고 이를 기록해 놓았다. 법흥왕 떄 율령반포와 6부제 실시, 왕권의 실태 등을 알 수 있는…
-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국보)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대홍리에 있는 봉선홍경사 갈기비(국보)이다. 갈기비(碣碑碑)는 간략한 형태의 석비를 말하는데 이 석비은 머릿돌, 비몸, 거북받침돌을 제대로 갖추고 있다. 고려 현종 때(1021년) 이곳에 봉선홍경사라는 사찰을 세우면서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석비이다. 사찰의 창건에 관한 내용만 비문에 남아 있고 사찰은 폐사되어 흔적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봉선홍경사 갈기비(국보)> 비몸돌 앞면 윗쪽에 ‘봉선홍경사갈기’는 이름이 적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