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물
-
대구 무술명 오작비 (보물)
대구 경북대학교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대구 무술명 오작비'(보물)이다. 1946년 대구시 대안동에서 발견되었다. 비에는 제방을 쌓은 이력과 책임자, 동원된 인력 등이 기록되어 있다. 높이 103.0cm 길쭉한 모양의 자연석으로 아래가 네모나고 윗부분이 둥근 형태를 하고 있어 당시 충국 비석형태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삼국시대 신라의 수시시설이나 사회체제 등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글자는 남북조시대 북조풍의 해서체이다. 문장은 이두문과…
-
고창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 (보물)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에 있는 ‘고창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보물)이다. 선운사 부속암자인 참당암 주불전으로 조선중기 임진왜란 후에 중건된 건물이다. 대웅전에는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좌우에 대세지보살과 관세음보살을 모시고 있다. 전형적인 조선후기 불전 건물형태를 하고 있지만, 뒷면에는 주심포양식이 남아 있다. 건물을 중건할 때 이전 건물 자재를 재활용한 것을 추정되고 있어 독특한 의미를 갖고 있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에…
-
고창 선운사 금동지장보살좌상(보물)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에 모셔진 “고창 선운사 금동지장보살좌상 (보물)”이다. 머리에 두건을 쓰고 있는 지장보살을 표현한 불상으로 조선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넓적하고 살찐얼굴, 형식적이고 수평적인 옷주름 등에서 동시대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 불상은 일제강점기에 도난당해 일본으로 반출되었다가 다시 돌아왔다. 최근에 중건한 것으로 보이는 대웅전 옆 지장보궁에 모셔져 있다. 내부에는 비슷한 형태의 작은 불상들과 같이…
-
고창 선운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보물)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 대웅전에 모셔진 “고창 선운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보물)”이다.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양쪽에 아미타여래, 약사여래가 모셔진 삼불좌상이다. 넓고 당당한 어깨, 긴 허리, 넓고 낮은 무릎 등 조선후기에 조성된 크고 웅장한 소조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불상 받침에 조각승으로 유명한 무염을 비롯하여 10여 참여했다는 내용과 조성연대가 기록되어 있다. 고창 선운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보물고창 선운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은 중앙에 비로자나불을…
-
고창 선운사 대웅전 (보물)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에 있는 ‘고창 선운사 대웅전(보물)’이다. 선운사의 중심불전으로 비로자나불과 아미타여래, 약사여래를 모시고 있다. 성종 때 지은 건물이 임진왜란때 화재로 소실된 것을 광해군 때 다시 지은 것이다. 비교적 높은 석축 위에 건물이 세워졌으며 앞면 기둥 사이가 넓고 옆면이 좁아 안정적인 형태를 보여준다. 휘어진 나무를 기둥으로 사용하는 등 자연스러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내부에는 화려한 단청벽화가 그려져…
-
고창 선운사 만세루 (보물)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에 있는 “고창 선운사 만세루 (보물)”이다. 사찰에서 법회를 여는 공간이자 신도들의 휴식 공간인 강당 건물이다. 사찰 기록에 따르면 조선 후기 영조 때 (1752년) 화재로 소실된 강당 건물을 다시 지었다고 한다. 원래는 중층 누각 건물이지만 수리하면서 단층으로 바뀌었다. 앞면 9칸 규모로 국내 사찰 누각이나 강당 중 가장 큰 규모이다. 승병활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