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조선시대
-
안동 하회마을 화경당 고택, 북촌댁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마을에 있는 고택인 ‘화경당 고택 (和敬堂 古宅)’이다. 마을 북촌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고 대저택으로 북촌댁이라 부른다. 마을 중심에 있는 삼신당 느티나무 바로 옆에 자리잡고 있으며, 북쪽으로 낙동강과 부용대가 내려다 보인다. 구한말 철종 때 경상도 도사를 지낸 유도성이 크게 증축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건물은 안채, 사랑채, 별당채, 대문간채, 사당이 있다. 원래 이름은 화경당인…
-
안동 하회마을 충효당 (보물)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마을에 있는 ‘하회 충효당(河回 忠孝堂, 보물)’이다. 조선중기 문신으로 임진왜란을 극복하는데 큰 역할을 했던 서애 류성룡 후손들이 지은 종택이다. 손자인 류원지가 사랑채와 안채를 짓고, 증손자인 류의하가 17세기에 크게 중건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사랑채 대청마루에 걸려 있는 ‘충효당’이라 적힌 현판은 이름난 서예가 허목이 쓴 것이라 한다. 17~18세기에 지은 건물 원형이 남아 있어 당시…
-
안동 하회마을 작천고택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마을에 있는 ‘작천고택(鵲泉古宅)이다. 하회마을 서쪽끝 종갓집인 양진당, 충효당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다. 지어진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며, 처음에는 두 채였으나 대홍수로 문간채가 쓸려나가고 ‘-‘자형 안채와 초가지붕을 하고 있는 작은 별채가 있다. 큰 규모는 아니지만 안방과 사이에 작은 담장을 세워 공간을 분리하는 등 양반가옥으로서 격식을 갖추고 있다. 안채는 특이하게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앞면 5칸…
-
안동 하회마을 빈연정사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빈연정사(賓淵精舍)’이다. 1583년에 류운룡이 관직을 사퇴한 후, 서재로 쓰기 위해 지은 정자 건물이다. 하회마을 북쪽 낙동강과 부용대가 보이는 언덕이 위치하고 있다. 원래 양진당 부근에 있었는데 초등학교가 세워지면서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의 크기 않은 규모이다. 왼쪽 1칸은 온돌방을, 오른쪽 2칸은 대청마루를 두고 있다. 대청마루 옆면과 뒷면에는 판문을…
-
안동 하회마을 겸암정사
경북 안동시 풍천면 광덕리에 있는 ‘겸암정사(謙菴精舍)’이다. 겸암 유운룡(1539~1601)이 1567년에 학문 연구와 제자 양성을 위해 지은 서당 성격의 건물이다. 빼어난 경치를 자랑하는 부용대 동쪽 절벽 위에 자리잡고 있다. 동생 유성룡이 지은 옥연정사와 대칭을 이루고 있다. ‘겸암정’이라는 현판은 퇴계 이황이 직접 써 주었으며, 그는 이를 자신의 호로 삼았다. 사랑채 마루에 앉으면 절벽 아래로 굽이쳐 흐르는 낙동강과 강…
-
안동 하회마을 옥연정사
경북 안동시 풍천면 광덕리에 있는 ‘옥연정사(玉淵精舍)’이다. 서애 유성룡이 만년이 <징비록>을 집필한 유서깊은 장소로 1586년에 지어졌다. 원래 있던 하회마을 원지정사가 마을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 편안하게 독서를 하면서 즐길 여유를 찾지 못하여 마을 건너편 부용대 아래 외진 곳에 터를 옥연정사를 마련하게 되었다. 이곳의 강물의 깨끗하고 맑은 물빛이 옥과 같아서 정사의 이름도 ‘옥연’이라 하였다고 한다. 옥연정사는 류성룡이 독서를…
-
안동 화천서원, 겸암 유운룡을 모신 서원
경북 안동시 풍천면에 있는 화천서원 (花川書院)이다. 겸암 유운룡(1539~1601)의 기리기 위해 조선후기 정조 때(1788년)에 세워졌다. 안동 하회마을 건너편 부용대 아래에 옥연정사와 같이 자리잡고 있다. 구한말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어 강당과 주사만 남아 있던 것을 1996년에 복원하였다. 문루인 지산루에 올라 밖을 내다보면 넓게 펼쳐진 모래사장과 낙동강, 하회마을이 한눈에 들어온다. 문루인 지산루는 앞면 5칸의 사방이 개방되어 있는 2층 문루이다. 문루에…
-
안동 병산서원 (사적), 서애 유성룡을 모신 서원
경북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에 있는 병산서원(屛山書院, 사적)이다. 서애 유성룡(1542~1607)의 학문과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서원이다. 원래 인근에 있던 풍악서당을 유성룡이 1575년 현재의 위치로 옮겼으며 그후 그의 제자들과 지역 유생들이 그의 위패를 모시는 사당인 존덕사를 세우면서 서원으로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구한말 서원철폐령 때 남아 있었던 47개 서원 중 하나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건물은 낙동강을 바라보는 방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