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이집트
-
[이집트 신전] 카르나크 신전 – 제7탑문에서 제10탑문까지
제1 탑문, 대열주실, 제3탑문, 나룻배 성소, 중왕국 안뜰, 신성호수, 제7탑문 카르나크 남북축은 제3탑문 앞 안뜰에서 출발하여 남쪽 무트(Mut)구역을 거쳐서 룩소르신전까지 연결된다. 멀리 거대한 건축물이 있던 폐허처럼 보인다. 제3탑문 남쪽 ‘은신처의 안뜰’, 제7탑문부터 제10탑문까지 연결된다. 제7탑문 앞에는 석상들이 세워져 있다. ‘은신처의 안뜰Cachette Court’에서는 1903년 땅속에 묻힌 900개가 넘는 조각상이 발견되었다. <출처>
-
[이집트 신전] 카르나크 신전 – 신성호수
제1 탑문, 대열주실, 제3탑문, 나룻배 성소, 중왕국 안뜰, 신성호수, 제7탑문 카르나크 신전 동서축과 남북축이 만나는 지점 동남쪽에 길이 200m, 너비 117m의 직사각형 연못을 볼 수 있다. ‘신성호수Sacred Lake’라 불리는 이 연못은 하트셉수트와 투트모시스 3세의 통치 기간에도 있었지만 현재의 모습은 25왕조 때 조성한 형태이다. 이곳에서 사제들이 의식을 거행하기기 전에 몸을 정화했다. 지금은 복원된 형태로 사막 한가운데의 오아시스 처럼 신전 중앙에 자리잡고 있다.…
-
[이집트 신전] 카르나크 신전 – ‘중왕국의 안뜰’, ‘아크-메누’, ‘람세스 2세 신전’
제1 탑문, 대열주실, 제3탑문, 나룻배 성소, 중왕국 안뜰, 신성호수, 제7탑문 카르나크 신전 ‘신성한 나룻배를 위한 성소’를 넘어서면 ‘중왕국의 안뜰’, ‘투트모세 3세 축제의 홀’, 람세스2세 신전이 배치되어 있다. 각기 독립된 공간으로 신전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중 ‘아크-메누Akh-Menou’는 건물 형태가 많이 남아 있는 편이며, 람세스 2세 신전은 석상들과 기둥에서 다른 람세스 2세 신전과 비슷한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중앙왕국의 안뜰’은…
-
[이집트 신전] 카르나크 신전 – 대관식 홀, 나룻배 성소
제1 탑문, 대열주실, 제3탑문, 나룻배 성소, 중왕국 안뜰, 신성호수, 제7탑문 카르나크 신전 제3탑문을 나오면 거대한 오벨리스크 들을 볼 수 있고, ‘신성한 나룻배를 위한 성소’를 들어가는 통로에 무너진 제4탑문과 제 5탑문을 볼 수 있다. 이곳은 고대 이집트인들들에게는 와지트(Wadjyt)로 알려져 있다. 이곳에 지붕을 받치는 금칠을 했던 와지 기둥이 있어서 와지트라고 불렀다. 신왕국초기에는 아몬-라 신전의 입구였다. 하트셉투스는 와지를 완성하면서 아버지를 표현한 오시리스 석상과 거대한…
-
[이집트 신전] 카르나크 신전 – 제 3탑문 안뜰, 투트모스 1세 오벨리스크
제1 탑문, 대열주실, 제3탑문, 나룻배 성소, 중왕국 안뜰, 신성호수, 제7탑문 대열주실을 지나 제3탑문과 제4탑문 사이에 있는 안뜰이다 .제3탑문을 나서면 정면으로 2개의 거대한 오벨리스크를 볼 수 있고 남쪽으로 멀리 여러 탑문들이 보인다. 안뜰은 두 개의 수직 행렬 축, 즉 주요 동서 축과 룩소르신전 방향으로 난 남북 축의 교차점에 위치하고 있다. 안뜰에는 여러개의 오벨리스크가 세워져 있었는데 그중 투트모스 1세의 오벨리스크가 남아 있다. 제4탑문은…
-
[이집트 신전] 카르나크 신전 – 대열주실(Great Hypostyle Hal)
제1 탑문, 대열주실, 제3탑문, 나룻배 성소, 중왕국 안뜰, 신성호수, 제7탑문 카르나크신전 큰 안뜰 안쪽에 있는 제2탑문(Second Pylon)과 대열주실(Great Hypostyle Hal)이다. 하이포스타일(Hypostyle) 양식은 거대한 기둥이 지붕을 받치고 있는 건축 양식으로 이집트 신전을 비롯하여 파르테논 신전의 기둥, 바티칸의 성베드로 성당, 이슬람 모스크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이곳은 세계에서 가장 큰 대열실주실이다. 파피루스 꽃을 표현하고 있는 134개의 기둥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열주실의 기둥들은 규모나…
-
[이집트 신전] 룩소르 카르나크 신전 – 1번째 탑문, 큰 안뜰
제1 탑문, 대열주실, 제3탑문, 나룻배 성소, 중왕국 안뜰, 신성호수, 제7탑문 이집트 룩소르에 있는 카르나크신전 (The Karnak Temple Complex)이다. 세계 최대 규모의 신전으로 일반적으로 카르나크(Karnak)로 잘 알려져 있다. 많은 신전(temple), 탑문(Pylon), 성소, 다양한 용도의 건물 등으로 구성된 복합 신전이다. 기원전 2000년부터 건립되기 시작하여 증축과 개축이 계속되어 왔다. 현재이 신전 건물은 신왕국시대부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 걸쳐 건립된 건물이다. 10개의 탑문, 람세스 1세부터 람세스3세 때…
-
[이집트 신전] 에드푸신전(Temple of Edfu), 호루스신에 바쳐진 신전
이집트 에드프시에 있는 ‘에드푸신전(Temple of Edfu )’이다. 프톨레마이오스왕조 시기인 기원전 57년에 세워졌다. 1798년 프랑스 원정대가 흙속에 묻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이집트 사원 중에 가장 보존 상태가 좋은 사원 중 하나이다. 덴델, 에스나, 콤옴부, 필레 신전과 프톨레마이오시 왕조시기에 세워진 사원 중 하나로 호루스신에게 바쳐진 대표적인 신전으로 손꼽힌다. 신전 부조벽화는 헬레니즘 시대의 언어, 이집트…
-
[이집트 신전] 콤옴보신전(Kom Ombo Temple), 호루스신과 소베크신의 타협의 산물
이집트 아스완 지역 콤옴보시에 있는 ‘콤옴보신전(Kom Ombo Temple)’이다. 프톨레마이오스왕조 시기인 기원전 180~ 47년에 세워졌으며, 로마시대에 일부 증축되었다. 콤옴보신전은 ‘악어의 신’ 소베크(Sobek)와 호루스(Horus)를 같이 모시는 신전으로 호루스신과 소베크신의 타협의 산물이다. 안뜰, 홀, 성보와 방이 똑같은 형태를 하고 있는 ‘이중 신전’이다. 현재 신전 대부분은 지진 등으로 파괴되어 ‘원기둥이 있는 큰 홀(열주실)’과 탑문 등 일부만 남아 있다. 아스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