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한옥
-
안동 하회마을 겸암정사
경북 안동시 풍천면 광덕리에 있는 ‘겸암정사(謙菴精舍)’이다. 겸암 유운룡(1539~1601)이 1567년에 학문 연구와 제자 양성을 위해 지은 서당 성격의 건물이다. 빼어난 경치를 자랑하는 부용대 동쪽 절벽 위에 자리잡고 있다. 동생 유성룡이 지은 옥연정사와 대칭을 이루고 있다. ‘겸암정’이라는 현판은 퇴계 이황이 직접 써 주었으며, 그는 이를 자신의 호로 삼았다. 사랑채 마루에 앉으면 절벽 아래로 굽이쳐 흐르는 낙동강과 강…
-
안동 하회마을 옥연정사
경북 안동시 풍천면 광덕리에 있는 ‘옥연정사(玉淵精舍)’이다. 서애 유성룡이 만년이 <징비록>을 집필한 유서깊은 장소로 1586년에 지어졌다. 원래 있던 하회마을 원지정사가 마을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 편안하게 독서를 하면서 즐길 여유를 찾지 못하여 마을 건너편 부용대 아래 외진 곳에 터를 옥연정사를 마련하게 되었다. 이곳의 강물의 깨끗하고 맑은 물빛이 옥과 같아서 정사의 이름도 ‘옥연’이라 하였다고 한다. 옥연정사는 류성룡이 독서를…
-
안동 봉정사 만세루
경북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에 있는 만세루이다. 대웅전 마당을 출입하는 2층 누각 형태의 문루이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3칸 규모이며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가운데 출입문이 있는 2층문루의 격식을 잘 갖추고 있다. 조선후기 숙종 때 처음 지어진 건물로 당시의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문루 내부는 상당히 넓은 편이며 사찰을 찾은 신도들이 경치를 감상하면서 휴식을 취하기 좋은 공간이다.…
-
청송 중평마을 사남고택
경북 청송군 파천면 중평마을에 있는 사남고택 (泗南古宅)이다. 18세기 후반에 분가하면서 지은 집이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4칸의 ‘ㅁ’자형 평면을 하고 있다. 앞쪽에는 중문을 중심으로 왼쪽에 큰사랑방이, 오른쪽에 작은사랑방이 있다. 큰 사랑방은 기단을 높게 하고 별도로 팔작지붕을 올려 누마루가 있는 독립된 건물처럼 보인다. 앞면 2칸의 큰사랑방은 왼쪽에는 마루방이, 오른쪽에는 온돌방을 두고 있다. 작은사랑방도 비슷한 구조이다. 앞마당…
-
청송 중평마을 서벽고택
경북 청송군 파천면 중평마을에 있는 서벽고택(棲碧古宅)이다. 18세기에 종택에서 분가하면서 처음 지었으며 그 후 확장하였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4칸의 ‘ㅁ’자형 평면을 하고 있다. 중문칸 서쪽에 큰사랑방을, 오른쪽에 작은사랑방을 두고 있다. 뒷편에 서당과 영모각이 있다. <청송 중평마을 서벽고택> <큰사랑방> <작은사랑방> <옆쪽에서 본 모습> <서당 건물> <영모각> <서당건물 앞 초가> <큰길에서 보이는 모습> 서벽고택(棲碧古宅) 이 고택은 평산…
-
청송 덕천마을 초전댁
경북 청송군 판천면 덕천마을에 있는 고택인 초전댁(草田宅)이다. 1806년에 지은 집으로 마을에서는 꽤 오래된 고택이다. 건물은 안채, 사랑채, 중문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전형적인 경북 북부지역 한옥 양식을 하고 있는 건물로 조선후기 상류층이 살았던 저택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청송 덕천마을 초전댁> <공간배치> 사랑채는 앞면 2칸 규모로 사랑방과 사랑마루가 있다. 왼쪽에는 중문과 작은 사랑방이 있다. 안채는 ‘ㄷ’자형으로…
-
청송 덕천마을 찰방공종택
경북 청송군 파천면 덕천마을에 있는 찰방공종택이다. 일제강점기인 1933년에 지은 근대 한옥이다. 건물은 안채, 사랑채, 문간채가 ‘ㄷ’자 형태를 하고 있다. 뒷편에는 사당이 있다. 전통적인 고택의 양식을 따르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잘 꾸며진 근대식 개량한옥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대저택인 청송 송소고택과 담장을 사이에 두고 있다. <청송 찰방공종택> <공간배치> <들어가는 길> <사랑채> <중문채> <사당> <별채> 청송심씨 찰방공종택 이 가옥은…
-
청송 덕천마을 송정고택
경북 청송군 파천면 덕천마을에 있는 송정고택(松庭古宅)이다. 일제강점기(1914년)에 지어진 한옥으로 만석군 집안인 송소고택에서 분가한 집이다. 건물은 사랑채, 안채, 별채가 ‘ㅁ’자를 이루고 있으며 사랑채 앞에는 넓은 마당이 있다. 99칸 대저택 옆에 있어 작아 보이지만 규모가 있는 상류층 저택이다. 일제강점기 지방에서 살았던 지배층이 생활모습을 보여주는 공간이자 대지주계층이 분가하는 과정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청송 송정고택> <공간배치> <대문채> <사랑채> <별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