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삼국시대
-
[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가야, 가야연맹체
삼한 중 한반도 동남부에 존재했던 변한을 계승한 가야연맹체는 국가체제를 갖추었던 고구려.백제.신라와는 달리 연맹체국가 형태를 유지하였다. 가야연맹체는 한.중.일 해상교역로의 이점을 적극 활용하고, 지역에서 생산되는 철을 기반으로 상당한 수준의 경제력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가야연맹체는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높은 온도의 밀폐가마, 고속 회전 물레 등 발달된 토기 제작기술을 가졌던 것으로 보이며 회청색의 아주 단단한 토기를 만들었다. 높은 기술수준과…
-
[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가야, 철의 왕국
고조선 시대 삼한 중 변한을 계승한 가야연맹체는 고조선 이래로 중국.한반도.일본과의 해상무역로에서 중요한 지역이었다. 이러한 지리적인 잇점과 철생산이 많았던 지역적인 특성으로 가야는 상당한 경제력을 축적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삼한시대에는 해안과 가까운 여수, 사천 늑도, 창원 다호리 지역 등이 해상무역의 중심지였으나 점차 풍부한 철을 바탕으로 낙동강 하류에 위치한 금관가아와 아라가야가 강력한 세력을 형성했으며, 5세기와 6세기에는 대가야와…
-
[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신라, 중고기 중앙집권국가
6세기에 신라는 중앙집권적인 통치체제를 갖추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다. 이 시기에는 소갈이와 수리시설의 보급을 통해 농업생산력을 발전시키고 나라이름을 ‘신라’라 칭하고 ‘왕王’이라는 왕호를 사용하였다. 율령을 제정하고 불교를 공인하는 등 국가로서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군사적인 경쟁력을 갗추면서 진흥왕때는 영토가 한강유역과 함경도 동해안 일대를 장악하게 되었다. 이 시기 국가로서 신라의 모습은 여러 유적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그…
-
[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신라, 마립간 시기
마립간麻立干은 신라 17대 내물마립간 (재위 356~402)부터 22대 지증마립간까지 약 150년간 사용한 왕에 대한 호칭이다. 중앙아시아 유목민족에 사용했던 지배자 칭호인 간干(Khan)이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 이후로 김씨가 왕위를 독점했으며 왕족을 중심으로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하였다. 신라의 황금문화는 북방유목민족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보이는 5~6세기 약 150여년간 화려하게 꽃피웠다. 마립간시대에 조성된 경주도심 신라 지배층의 무덤에서는 금관을 비롯하여 금귀걸이, 금목걸이같은…
-
[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신라, 성읍국가 사로국
신라는 진한에 소속된 성읍국가 중 경주 지역의 사로국(斯盧國)이 그 시초이며 혁거세 거서간이 나라를 세웠다가 알려져 있다. 삼국 중 가장 먼저 세워졌으며 인근 울산지역 달천에서 철광산을 개발하여 고대왕국으로 성장할 동력을 얻었다. 4세기 대 산라 지배자의 무덤에서는 덩이쇠나 쇠괭이를 묻어 자신들의 세력을 과시했으며 금관이 부장품으로 묻혔던 마립간시기까지 이런 경향은 이어졌다. 새 모양 주전자신라가 왕조국가로 통합될 즈음인 3~4세기에는…
-
부여 나성 (사적), 백제 수도 사비를 둘러싸고 있는 도성
충남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부여 나성'(사적)이다. 백제의 수도 사비를 방어하기 위해 쌓은 중요한 외곽 방어시설이다. 당나라 장안성이나 조선의 한양 도성과 비슷한 성격을 갖는 둘레 8km 정도의 도성(都城)이다. 웅진에서 사비로 천도하기 위해 538년을 전후하여 쌓았다. 전체적인 구조는 부소산성 동문에서 시작하여 청산성에서 남쪽 석목리 필사봉을 거쳐 금강변까지 이어진다. 동쪽과 북쪽으로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성벽을 쌓고, 남쪽과 서쪽은 백마강이…
-
부여 능산리사지 (사적), 백제 성왕을 위해 세운 사찰
충남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 있는 ‘부여 능산리 사지'(사적)이다. 백제의 대표적인 고분군인 능산리고분군과 백제 수도 사비성을 둘러싸고 있던 부여나성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백제가 사비로 도읍을 옮기던 시기에 세워졌다는 의견도 있지만, 대체로 백제 성왕의 아들 위덕왕이 아버지인 성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운 원찰로 보고 있다. 목탑터 심초석에서 출토된 사리감에는 창왕의 여동생인 공주가 만들어 사리와 함께 봉안했다는 내용의…
-
부여 왕릉원(사적), 사비기 백제 왕릉
충남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부여 왕릉원’사적이다. 백제의 도성인 부여 나성(사적) 바깥쪽 나즈막한 구릉에 자리잡고 있다. 사비기 백제 왕릉으로 추정되는 무덤들로 ‘부여 능산리 고분군’으로 불렸다. 일제강점기 일본인에 의해 6기의 무덤이 확인되었으며, 1971년 1기의 무덤이 다시 발견되어 총 7기의 무덤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국 도교의 영향을 받아 산을 등지고 있는 배산임수의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다. 백제 마지막 도성인 사비성을 둘러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