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통일신라

  •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 출토 사리장엄구 (보물)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 출토 사리장엄구 (보물)’이다. 1916년 도굴범들이 탑의 일부를 무너뜨리는 바람에 경복궁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동탑과 서탑 모두 동제항아리 안에 금동병이 넣어진 상태로 안치되었다. 사리병은 나팔형으로 벌이긴 목과 타원형의 몸통을 가졌는데 당시 유행했던 병의 형태를 따르고 있다. 최근 보존처리 과정에서 다리니 1매가 발견되었다. 동.서삼층석탑에서 모두 사리장엄구가 발견되었다. 사리장엄구는 동으로 만든…

  • 금동 당간 용두 (보물)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금동 당간 용두 (보물)’이다 사찰에서 법회 때 깃발을 거는 시설인 보당 끝을 장식하던 용머리이다. 용이 입에 물고 있는 여의주 뒤로 줄을 거는 도르래가 있어 깃발을 쉽게 올리고 내릴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경북 풍기에서 발견되었다. 이 용머리 장식은 20미터 정도의 높이로 올려져 깃발과 함께 웅장한 모습을 보여주었을 것이다. 용두는 두 눈을 크게 부릅뜬…

  •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보물)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보물)이다. 1959년 탑을 해체.수리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1층 탑신에는 나무, 돌, 동으로 만든 조선시대 불상이, 2층 지붕에는 통일신라 때 만들어진 사리장엄구를 비롯한 공양물들이, 머리장식부에는 고려시대에 만든 삼감청자 원형합 등이 발견되었다. 2층 탑신 지붕에서는 통일신라 때 넣은 사리갖춤이 발견되었다.통일신라 금속공예의 걸작으로 궁궐 정전이나 불전에서 볼 수 있는 장엄함을 표현하는 닫집 형태를…

  • 의성 관덕동 석사자(보물)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의성 관덕동 석사자(보물)이다. 의성 관덕리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 기단 모서리에 올려져 있는 석상이다. 암수 1마리씩 두쌍이 있었는데 현재는 1쌍만 남아 있다. 조각수법을 알볼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닳아 있다. 암사는 앞발을 곧게 세우고 뒷발을 구부린채 앉아 있는데 그 아래 새끼 사자가 젖을 빨고 있다. 삼층석탑이 조성되었던 9세기 작품으로 전체적으로 균형이 잘…

  •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국보)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국보)’이다. 이 불상은 1976년 경북 선산읍 봉한동에서 공사를 하던 중 발견된 불상이다. 왼손과 왼발 일부가 없어지고 약간의 녹이 있으나 도금 상태는 좋은 편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모양의 머리칼을 붙였으며, 그 위에 상투모양의 머리를 올려놓고 있다. 양감 있는 얼굴에 예리한 선으로 눈.코.입을 표현하였다. 몸의 형태나 세부 표현이 부드럽고 단순하면서도 단정한 인상을 주고…

  • 의성 관덕리 절터

    경북 의성군 단촌면 관덕리에 있는 통일신라 절터이다. 절터에 삼층석탑(보물)과 석조보살좌상 등이 남아 있다. 사찰이 자리잡고 있는 산의 형세가 사자를 닮았다 하여 ‘사자골’이라 부르며 절의 이름은 ‘사운사(獅雲寺)’ 혹은 ‘사운사(思雲寺)’였다고 한다. 현재 남아 있는 절터의 규모나 형태 등으로 볼 때 작은 규모의 사찰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부근에 금동불상 등 유물과 기와조각 등이 출토되었다고 한다. 절터 바로 아래에…

  • 의성 관덕동 석사자(보물), 2013년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의성 관덕동 석사자(보물)이다. 의성 관덕리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 기단 모서리에 올려져 있는 석상이다. 암수 1마리씩 두쌍이 있었는데 현재는 1쌍만 남아 있다. 조각수법을 알볼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닳아 있다. 암사는 앞발을 곧게 세우고 뒷발을 구부린채 앉아 있는데 그 아래 새끼 사자가 젖을 빨고 있다. 삼층석탑이 조성되었던 9세기 작품으로 전체적으로 균형이 잘…

  •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보물)

    경북 의성군 단촌면 관덕리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놓은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높이 3.65m로 크지 않은 규모이지만 기단부와 탑신 1층 몸돌에 부조상을 새겨놓고 있으며, 기단부 모서리에 사자상을 올려놓고 있다. 꼭대기 머리장식은 남아 있지 않고 받침돌만 거꾸로 놓여져 있다. 보통 석탑에는 인왕상, 사천왕상, 팔부중상을 새겨놓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석탑은 기단에 사천왕상과 천부중이…

  •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보물)

    경북 의성군 단촌면 등운산 고운사에 있는 석조여래좌상(보물)이다.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는  8세기 불좌상을 모델하여 조성된 지방양식의 불상이다. 대좌와 광배를 제대로 갖추고 있으며 손상이 거의 없이 원래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얼굴에 눈.코.입을 작게 표현했으며 허리가 작고 약간 치켜 올라간 어꺠로 불안전상 자세를 하고 있다. 광배는 배모양을 하고 있는데 연꽃과 덩굴무늬, 불꽃이 타오르는 모양 등을 잘 표현하고 있다. 대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