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백제
-
[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백제, 세련된 문화를 꽃피우다
백제는 성왕때인 538년에 현 부여지역인 사비로 도읍을 옮겨 새로운 중흥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백마강이라 불리는 금강 남쪽해안 부소산성을 중심으로 도성을 쌓았다. 또한 부소산성 입구에 해당되는 관북리 지역에 왕궁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다. 백제의 옛 도읍이었던 부여에는 중앙의 정림사지와 도성 바깥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궁남지와 부소산성을 제외하고는 유적지라고 느낄 만 곳은 실제로 많지는…
-
[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백제, 나라를 세우고 경영하다
백제는 고구려를 건국한 주몽의 아들인 온조왕이 건국한 것으로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다. 온조는 형인 비류와 함께 고구려에서 내려와 비류는 오늘날 인천지역에 해당하는 미추홀에, 온조는 하남 위례성에 정착하였다. 이는 권력투쟁에서 밀려난 부여계통의 세력이 한강유역으로 이주하였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초기 백제의 수도는 하남 위례성이라고 기록에 남아 있는데, 그 위치가 풍납토성, 몽촌토성, 또는 하남의 또다른 지역인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는데…
-
부여 나성 (사적), 백제 수도 사비를 둘러싸고 있는 도성
충남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부여 나성'(사적)이다. 백제의 수도 사비를 방어하기 위해 쌓은 중요한 외곽 방어시설이다. 당나라 장안성이나 조선의 한양 도성과 비슷한 성격을 갖는 둘레 8km 정도의 도성(都城)이다. 웅진에서 사비로 천도하기 위해 538년을 전후하여 쌓았다. 전체적인 구조는 부소산성 동문에서 시작하여 청산성에서 남쪽 석목리 필사봉을 거쳐 금강변까지 이어진다. 동쪽과 북쪽으로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성벽을 쌓고, 남쪽과 서쪽은 백마강이…
-
부여 능산리사지 (사적), 백제 성왕을 위해 세운 사찰
충남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 있는 ‘부여 능산리 사지'(사적)이다. 백제의 대표적인 고분군인 능산리고분군과 백제 수도 사비성을 둘러싸고 있던 부여나성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백제가 사비로 도읍을 옮기던 시기에 세워졌다는 의견도 있지만, 대체로 백제 성왕의 아들 위덕왕이 아버지인 성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운 원찰로 보고 있다. 목탑터 심초석에서 출토된 사리감에는 창왕의 여동생인 공주가 만들어 사리와 함께 봉안했다는 내용의…
-
부여 왕릉원(사적), 사비기 백제 왕릉
충남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부여 왕릉원’사적이다. 백제의 도성인 부여 나성(사적) 바깥쪽 나즈막한 구릉에 자리잡고 있다. 사비기 백제 왕릉으로 추정되는 무덤들로 ‘부여 능산리 고분군’으로 불렸다. 일제강점기 일본인에 의해 6기의 무덤이 확인되었으며, 1971년 1기의 무덤이 다시 발견되어 총 7기의 무덤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국 도교의 영향을 받아 산을 등지고 있는 배산임수의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다. 백제 마지막 도성인 사비성을 둘러싸고…
-
부여 군수리사지 (사적), 백제 칠지도가 출토되었던 절터
충남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군수리사지(사적)이다. 일제강점기인 1935년 일본인에 의해 백제 절터 중 최초로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금당터는 백제 건축에서 볼 수 있는 기와를 쌓은 와적기단을 사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목탑터 심초석 부근에서 금동미륵보살입상(보물)와 석조여래좌상(보물)가 출토되었으며, 칠지도를 비롯하여 다양한 토기들이 출토되었다. 금당터에서도 금동제방울 등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군수리사지는 사비도성 내에 있던 사찰이기는 하지만 문헌에는 그 기록이 남아 있지…
-
부여 화지산 유적(사적), 백제 사비성 남쪽 궁궐이 있던 곳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있는 ‘부여 화지산 유적'(사적)이다. 백제 이궁 정원인 궁남지(사적) 동쪽에 있는 해발 10~18m 정도의 낮은 야산이다. 삼국사기에 기록된 망해정이 있었다고 전해지는 곳으로 발굴.조사 결과 건물터 초석과 기와조각 등이 다량으로 출토되었으며 건물터, 토광묘, 석축시설 등이 확인되었다. 궁남지와 함께 백제 마지막 수도였던 사비성 남쪽에 있던 이궁(離宮)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망해루는 무왕 때 궁남지에 축조한 건물로…
-
부여 부소산성 (사적), 사비 왕성 배후 산성
충남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에 있는 ‘부여 부소산성'(사적)이다. 《삼국사기》<백제본기>에는 사비성 또는 소비리성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보통 ‘부소산성’이라 부른다. 백제 사비시대의 도성을 구성하는 산성으로 부소산의 자연 지형을 활용하여 흙으로 성벽을 쌓았다. 부소산성은 왕궁 북쪽에 위치한 비상 방어시설이지만 군사적인 기능뿐 아니라 왕궁 배후자로서 후원의 역할도 함께 수행했다. 부여 시가지 전체를 조망하는 곳에 위치한 부소산성은 관북리로 추정되는 왕궁지와 연결되어 있다.…
-
부여 부소산성 서복사지, 백제 왕실과 관련된 절터
충남 부여군 부여읍 구아리에 있는 ‘부여 부소산성 서복사지’이다. 부소산성 중턱 경사면에 부지를 조성하고 사찰을 세웠다. 높이 10여미터의 급경사로 이루어진 계단을 통하여 절로 진입하는 산지구릉상의 가람입지를 하고 있다. 규묘는 비교적 작은 편이며 목탑자리에서 금동제 과판(銙板)이 출토되어 백제왕실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백제말기에 건축되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절이름이 남아 있지 않아 지형을 반영한 부소산 서복사지라 불린다. 부소산성 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