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중앙박물관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조선후기 도자문화
조선후기의 백자는 17세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결과로 백자의 질이 많이 떨어졌다가 17세기말부터 다시 원래의 수준으로 질이 좋아져 순백의 백자가 다시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18세기 전후 복구를 완료하고 경제 활동이 증가하면서 백자 수용층이 왕실과 사대부는 물론 부유한 일반 백성까지 확대되었다. 깨끗하고 기품 있는 백자가 다양하게 만들어졌고 특히 문인의 취향이 반영된 청화백자가 유행했다. 일본은 조선의 도자기 기술을 받아들여서 상당한…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물고기무늬 분청사기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물고기 첨벙! 어문(魚文) 분청사기”라는 전시명으로 특별전을 2023년 개최하였다. 조선시대 분청사기 중 물고기가 표현된 다양한 분청사기들을 소개하고 있다. 상감, 인화, 철화, 조화 등 다양한 분청사기 제작 기법으로 만든 작품들을 살펴볼 수 있다. 분청사기 상감 파도.물고기무늬 매병, 조선 15세기, 이건희 기증상감으로 빼곡하게 무늬를 넣은 매병으로 고려청자의 기형과 상감기법의 전통을 이은 작품이다. 몸체에 구획을 나누어 연꽃, 파도,…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관요 설치 이후 조선 도자기
분청사기의 전성기는 15세기로 왕실에서부터 일반서민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전국 각지에서 약 150여년간 생산되었던 분청사기는 조선 중기에 들어서면서 광주지역에 관요가 설치되고 국가에서 백자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되면서 쇠퇴하기 시작하여 16세기 중엽에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순백의 백자를 선호했던 조류와 구리를 가공해서 만든 유기제품에 밀려서 역사의 무대에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분청사기 철화 넝쿨무늬 항아리, 조선 15세기 후반 ~ 16세기 전반흰…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조선의 도자기, 분청사기와 백자
분청사기는 고려 상감청자를 계승한 도자기제작기법으로 ‘백토로 분장한 회청색의 사기’라는 뜻으로 20세기에 들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외형상 고려청자에 비해서 제작수법이 쇠퇴한 느낌을 주고 있지만, 투박하면서도 서민적인 면모를 보이는 등 한국적인 미를 잘 담아내고 있다. 분청사기는 고려말 청자의 주요 생산지였던 전남 강진과 전북 부안의 가마들이 왜구의 침략으로 피폐화되면서 장인들이 내륙으로 이동하면서 만들어지게 되었다고 한다. 분청사기는 15~16세기에 걸쳐 약…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고려청자로 꽃피운 도자문화
고려후기에는 몽골의 침입으로 오랜 기간 전쟁을 치르면서 국가적으로 경제가 상당히 어려웠던 시기이다. 이는 청자제작에도 영향을 미쳐 전반적으로 전성기의 청자에 비해서 고려후기에는 그 제작수법의 단순해졌으며, 이전의 세련된 기술들이 많이 쇠퇴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고려후기 해안지역에는 일본의 왜구가 서남해안 지방을 침입하여 고려청자를 만들던 가마들이 있었던 전남 강진과 전북부안의 장인들이 내륙으로 피난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도자기…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상감청자의 아름다움
우리나라 문화유산 중 독창적이면서 뛰어난 것으로 고려 상감청자를 꼽을 수 있다. 상감청자는 바탕에 무늬를 새기고 다른 종류의 흙을 메워 넣는 방법으로 나전칠기나 금속공예의 입사기법에서 이전부터 볼 수 있었던 것인데, 이를 고려시대에 도자기에 적용한 것이다. 제작기법이 어려워 보이지 않지만, 실제로는 상감무늬를 만든 후 고온의 가마에 구워야만 했기 때문에 재질의 차이 등으로 상당히 어려운 기술이라고 한다. 고려시대의…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고려자기의 종류와 장식기법
고려청자가 처음 만들어진 이후 비색청자로 불리는 순청자가 주를 이루었으며 12세기 전반까지 절정기를 이었으며 이후 상감기법이 도입되어 그 빛깔과 함께 예술적 조형미까지 갖추게 되었다. 고려청자에는 상감청자를 비롯하여 다양한 장식기법이 활용되었다. 그릇 표면에 무늬를 파내는 음각 기법, 무늬를 도드라지게 새기는 양각기법, 틀로 무늬를 찍어 내는 압출양각 기법, 무늬 바깥 부분을 도려내어 구멍을 뚫는 투각기법, 붓을 써서 흰…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고려청자의 시작, 비색청자
비색청자로 불렸던 고려 청자는 은은한 녹색을 띠는 도자기로 우리나라을 대표하는 문화재이자 예술작품이다. 고려청자는 도자기 종주국인 송나라 사람들조차도 그 빛깔이 중국 청자보다 뛰어나다고 칭송하였다고 한다. 비색청자는 유약이 반투명하며 그릇표면에 금이 생기지 않고 광택이 은은한 것이 특징으로 11세기 후반에서 12세기 전반에 절정기를 이루며 12세기에는 상감기법이 도입되어 그 빛깔과 함께 예술적 조형미까지 갖추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자기가 언제부터 만들어…
-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일상생활 속 금속공예
청동거울은 청동기시대부터 사용되어온 것으로 전국의 주요 박물관에서 거의 빠지지 않고 전시되어 있다. 원래는 제사장이나 부족장의 권위를 나타내는 주술적인 용도였으나, 점차적으로 화장을 위한 일상용품으로 그 용도가 변하고 고려시대에 보편화되었다고 한다. 제작연대도 삼국시대 이전부터 만들어진 것이 많다. 청동거울에는 주술적의미나 장식적인 목적으로 다양한 그림이나 글자를 새겨 놓고 있으며, 조형미가 우수하며, 보존상태가 좋은 유물들이 많은 편이다. 때문에 박물관에 전시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