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고려는 수도가 개경이었고 북방민족과의 전쟁이 많았던 시기이다. 역사적 사건은 개경을 중심으로 북쪽지방에서 많이 있었기때문에 역사유적지는 많지 않은 편이다. 몽골과의 전쟁기간 동한 임시 수도였던 강화도에 고려시대 유적지가 많은 편이다.

  1. 강화 고려궁지(사적)
  2. 용인 처인성
  3. 전주 오목대와 이목대
  4. 남원 황산대첩비지(사적), 태조 이성계가 왜구를 크게 물리친 곳
  5. 경주 황남동 효자 손시양 정려비(보물)
  6. 영덕 괴시마을, 목은 이색 생가터
  7. 산청 목면시배 유지(사적), 문익점이 처음 목화를 재배한 곳

조선시대 역사유적은 전국적으로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유적에 역사적 의미를 크게 두고 있다. 지역별로 비석을 비롯하여 다양한 유적들이 남아 있다.

  1. 아산 맹씨 행단 (사적), 조선초 청백리 맹사성 일가가 살았던 곳
  2. 서울 노량진 사육신 역사공원
  3. 홍성 성삼문 유허, 성삼문 태어난 외가 마을
  4. 영월 엄흥도 정려각, 단종 시신을 거두었던 영월 호장 엄흥도에 내려진 정려
  5. 강릉 오죽헌, 율곡 이이와 어머니 신사임당 유적지
  6. 충주 탄금대(명승), 우륵이 가야금을 연주하던 곳이라 여겨진 곳
  7. 상주 임란북천전적지, 임진왜란 때 중앙 관군이 왜군과 첫 전투를 벌렸던 곳
  8. 북관대첩비, 임진왜란 때 승전을 기념하여 세운 승전비
  9. 고양 행주대첩 유적지
  10. 진주 의기사와 의암바위
  11. 구례 석주관 칠의사묘(사적), 정유재란때 의병을 일으킨 7인의 유적
  12. 남원 만인의총(사적), 정유재란 남원전투에서 희생된 이들이 함께 묻힌 곳
  13. 서울 삼전도비(사적)
  14. 안동 송제비(松堤碑), 임하댐 아래 반변천에 제방을 쌓은 내력이 적힌 비석
  15. 성균관 탕평비, 영조가 붕당정치 폐해를 해소하고자 세웠던 비석
  16. 상주 왕산역사공원
  17. 서울 을지로 훈련원공원, 조선시대 군사훈련을 담당하던 훈련원 옛터
  18. 영은문 주초, 중국 사신을 맞던 모화관 앞 영은문 주춧돌
  19. 세종대왕 신도비(보물)
  20. 창경궁 성종태실 및 태실비
  21. 영월 청령포(명승), 단종이 왕위를 빼앗긴 후 유배되었던 곳
  22. 울산 효자 송도선생 정려비

구한말 이후 일제강점기까지는 외세에 침탈하는 과정에서 많은 역사적 사건이 있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역사 유적지로는 동학농민전쟁과 관려된 유적지를 들 수 있다.

  1. 청도 척화비, 구한말 서양세력을 배척하고자 전국적으로 세운 비석
  2. 정읍 황토현 전적(사적)과 만석보 옛터
  3. 장성 황룡전적(사적), 동학농민군이 관군을 상대로 큰 승리를 거둔 장소
  4. 공주 우금치 전적지(사적), 동학혁명 최대의 격전지
  5. 공주 황새바위 천주교 순교유적지
  6. 서울 장충단공원, 을미사변 때 희생된 이를 기리는 사당이 있었던 공원
  7. 청.일 조계지 경계 계단
  8. 인천항 홍예문, 일본인 조차구역 출입문
  9. 서울 외국인묘지 공원, 근현대사 인물과 외국 묘지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곳
  10. 북묘비, 관우 사당인 북묘에 세웠던 비석
  11. 독립문, 독립의지를 표방한 개선문을 본떠서 만든 근대건축물
  12. 광혜원(廣惠院), 최초의 서양식 의료기관 
  13. 천안 병천 유관순열사 유적(사적)

역사인물 묘역

  1. 파주 윤관장군묘(사적), 고려시대 여진을 정벌한 윤관장군 무덤
  2. 고려말 충신 포은 정몽주 선생 묘역
  3. 파주 자운서원, 율곡 이이 선생 가족묘
  4. 아산 충무공 이순신 장군 무덤(사적)
  5. 파주 심지원묘 및 신도비, 조선시대 최대.최장의 소송이 있었던 역사의 현장
  6. 구한말 풍운아 김옥균 선생 유허
  7. 서울 효창공원, 백범 김구선생 묘역
  8. 서울 효창공원, 삼의사(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묘역
  9. 파주 공효공 박중손 묘역내 장명등(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