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삼국시대

  • 전 창녕 출토 금관

    일본 국립도쿄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전 창녕 출토 금관’이다. 일제강점기 한반도에서 수집한 오구라 컬렉션을 대표하는 유물로 손꼽힌다. 정확한 출토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국립중앙박물관 설명에 따르면 창녕 지역에서 출토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금관 양쪽에 풀잎모양 장식을 세우고 금동판을 매달아 장식한 형태이다. 신라 금관이나 다른 가야지역에서 출토된 금관이나 금동관과는 다른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다. ‘전 고령 금관'(국보)과 ‘경주 교동…

  • 황남대총 북분 금관(국보), 신라를 대표하는 화려한 금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황남대총 북분 금관'(국보)이다. 경주 대릉원 황남대총에서 발견된 금관으로 높이 27.5 cm이며, 드리개는 길이 13~ 30.3 cm이다. 앞쪽에는 山자형을 연속해서 삼단으로 쌓아 올린 나무모양을 3개 두고 있으며, 뒷쪽에는 사슴뿔모양을 하고 있는 장식 2개을 두고 있다. 금관드리개는 좌우에 대칭적으로 3개씩 굵은 고리에 매달아 늘어뜨렸다. 안쪽 끝부분에는 푸른색의 굽은 옥을 달았고, 바깥쪽에는 나뭇잎 모양의 금판을…

  •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국보)이다. 경주 대릉원 황남대총에서 발견된 금허리띠와 띠드리개이다. 금허리띠는 직물로 된 띠의 표면에 사각형 금속판을 붙인 것으로 길이 120 cm이며 28장의 판으로 만들어졌다. 허리띠 아래에는 13개의 띠드리개가 연결되어 있다. 띠드리개에는 물고기모양, 주머니모양, 쪽집게모양 등이 달려 있는데, 북방유목민들이 생활습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옆면에는 물고기모양, 곱은옥, 손칼 등이 매달려 있다…

  •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국보, 1962-2), 삼국시대 신라를 대표하는 문화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국보, 1962-2)이다. 이 불상은 높이 93.5 cm로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큰 금동반가유상이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고미술상으로부터 구입했다고 한다. 머리에는 3면이 둥근 산모양 관(冠)을 쓰고 있다. 얼굴은 원형에 가까우며 눈과 입가에 미소를 풍기고 있다. 단순하면서도 균형잡힌 신체표현, 입체적으로 처리된 옷주름 등 제작수법과 조형미가 뛰어난 걸작이다. 삼국시대 후반기인 7세기 신라에서 만든 것으로 추정하고 았다.…

  •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국보, 1962-1)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국보, 1962-1)이다. 한 다리를 다른 쪽 무릎위에 얹고 손가락을 빰에 댄 채 생각에 잠긴 모습을 하고 있는 높이 80 cm의 반가사유상이다. 일제강점기인 1912년 조선총독부에서 일본인으로부터 입수하여 박물관에 기증하였다. 머리에 화려한 관(冠)을 쓰고 있으며, 관에서 나온 2가닥의 장식이 어깨까지 늘어져 있다. 관에는 해와 달 장식이 있어 ‘일월식보관’이라 하며, 사산조페르시아에서 유래한 것이라 한다. 전체적으로…

  • [중앙박물관 사유의 방]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반가사유상은 한 다리를 다른 쪽 무릎 위에 얹고, 손가락을 빰에 댄 채 생각에 잠긴 모습으로 인간의 생로병사를 고민하며 명상에 잠긴 싯다르타 태자의 모습을 표현한 불상이다. 인도에서는 3세기경 간다라와 마투라 지역에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불상의 협시보살에서 출발하여 나중에는 단독 불상의 형태로 바뀐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에는 남북조시대에 크게 유행했으며 5세기말 운강지역에서 미륵불과 삼존상의 협시보살이 형태로 나타나며, 6세기 북제(北齊)에서…

  • [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백제, 세련된 문화를 꽃피우다

    백제는 성왕때인 538년에 현 부여지역인 사비로 도읍을 옮겨 새로운 중흥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백마강이라 불리는 금강 남쪽해안 부소산성을 중심으로 도성을 쌓았다. 또한 부소산성 입구에 해당되는 관북리 지역에 왕궁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다. 백제의 옛 도읍이었던 부여에는 중앙의 정림사지와 도성 바깥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궁남지와 부소산성을 제외하고는 유적지라고 느낄 만 곳은 실제로 많지는…

  • [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백제, 나라를 세우고 경영하다

    백제는 고구려를 건국한 주몽의 아들인 온조왕이 건국한 것으로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다. 온조는 형인 비류와 함께 고구려에서 내려와 비류는 오늘날 인천지역에 해당하는 미추홀에, 온조는 하남 위례성에 정착하였다. 이는 권력투쟁에서 밀려난 부여계통의 세력이 한강유역으로 이주하였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초기 백제의 수도는 하남 위례성이라고 기록에 남아 있는데, 그 위치가 풍납토성, 몽촌토성, 또는 하남의 또다른 지역인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는데…

  • 합전 옥전 M4호분 출토 금귀걸이(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합전 옥전 M4호분 출토 금귀걸이'(보물)이다. 대가야 지배층 무덤인 합천 옥전고분군(사적) M4호 무덤에서 출토된 한쌍의 금귀걸이다. 가야의 금귀걸이 중 화려하고 보존상태과 양호하다. 5세기 가야를 대표하는 유물로 당시의 금속공예 수준을 잘 보여주고 있다.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