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삼국시대
-
영주 순흥 벽화 고분(사적), 고구려 영향을 받은 삼국시대 고분
경북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에 있는 <영주 순흥 벽화 고분(사적)>이다. 이 고분은 순흥 벽화 고분이라고 부르며, 구릉 윗쪽에는 또 다른 신라고분인 어숙묘가 있다. 외형은 둥근 봉분을 하고 있으며, 내부는 넓은 석실과 통로로 구성된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분)이다. 석실(현실)은 4각형으로 동.서 약3.5m, 남.북 약2m, 높이 약2m이다. 굵은 석재로 벽을 쌓고 그 위에 석회칠을 한 후 벽화를 그린 전형적인 고구려 석실고분…
-
영주 순흥 어숙묘(사적), 삼국시대 신라 고분
경북 영주시 순흥면 태장리에 있는 <영주 순흥 어숙묘(사적)>이다. 신라 벽화무덤으로 흙을 쌓아올린 봉토무덤이다. 실내 네 벽과 천장에 석회를 바르고 벽화를 그렸으나 대부분 훼손되고 널길 천장과 문짝에만 남아 있다. 천장에는 붉은색으로만 표현한 대형 연꽃무늬가 있고, 돌문 안쪽에는 ‘을묘년 어숙지술간’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어 피장자가 고구려계 인물 어숙이며 ‘술간’은 신라 관직명으로 추정된다. 이는 신라 영역 내에서 이름이 밝혀진…
-
울진 봉평리 신라비(국보)
경북 울진군 죽변면 울진봉평신라비전시관에 있는 <울진 봉평리 신라비(국보)>이다. 삼국시대 신라 법흥왕 때(524년경)에 세운 석비이다. 비는 자연석을 그대로 사용했는데 사다리꼴 형태를 하고 있다. 한쪽 면에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400자 정도이다. 내용은 전형적인 한문이 아니라 신라식의 독특한 한문체를 사용하여 파악이 어렵지만 전체적인 윤곽은 짐작할 수 있다. 울진 지역에 신라에 복속되면서 주민들이 저항하자 신라에서 육부회의를 열어 책임자에게 형벌을…
-
연천 호로고루(사적), 임진강 고랑포구 부근 고구려 요새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에 있는 고구려 요새인 호로고루(사적)이다. 임진강이 지천과 만나는 지점에 형성된 삼각형 모양의 지형에 쌓은 강안평지성이다. 동쪽을 제외하고는 약 20~30m 정도의 현무암 절벽으로 이루어져 천연의 요새이다. 성벽전체의 둘레는 400여m, 면적은 600여㎡로 종도이다. 남벽과 북벽은 현무암 절벽을 성벽으로 삼아 상단부에 1~2m의 토축을 쌓고 목책을 설치했으며 성안으로 출입하는 동쪽에 토축과 석축이 섞여 있는 높이 10여m의…
-
[청주박물관] 금속으로 변화된 삶, 삼국시대 이후
충북지역은 백제가 한강유역에 확고한 세력을 갖추었던 4세기 충북지역은 백제의 세력권에 있었지만, 5세기 고구려가 남하하면서 남한강 유역은 당대 최대의 격전장이 되었고, 백제는 점차 이지역에서 고구려, 신라에 밀려나게 되었다. 백제는 마한의 작은 세력이었지만, 토착세력이라기보다는 북방 고구려의 일파가 남하한 세력이었다. 그들은 강력한 철기제작기술과 기마병 운용능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 서남지역에 해당하는 마한지역을 복속시킬 수 있었던 것으로…
-
도기 신발모양 명기(보물)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도기 신발모양 명기>(보물)이다. 출토지는 알 수 없으나 5~6세기에 작품으로 추정된다. 앞이 뾰하고, 뒤가 낮은 신발 형태를 하고 있다 굽, 바닥, 발등 부분 등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금속제 신발과는 달리 실제 사용했던 신발을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죽은 이가 사후 세계를 걷기 위한 신발로 해석된다. <출처>
-
도기 배모양 명기(보물)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도기 배모양 명기>(보물)이다. 출토지는 알 수 없으나 5~6세기경 작품으로 추정된다. 배 모양을 본 뜬 토기로 바닥이 수평이며 길게 만들어졌다. 배의 양쪽 끝 부분이 높게 들려서 반원형을 이루고 있다. 배 끝부분에는 노를 걸었던 꼭지가 여러 개 달려 있다. 배모양 토기는 삼국시대 고구려, 신라, 가야의 고분에서 겨묻거리로 출토되고 있다. 그리스 신화…
-
[대구박물관, 대구 경북의 고대문화] 삼국시대 꾸미개
꾸미개는 금관을 비롯하여 허리띠 관모, 관꾸미개, 귀걸이, 목걸이, 팔찌, 반지, 신발 등이 있다. 신라는 금.은.금동을 이용하여 만든 다양한 꾸미개를 무덤의 부장품으로 남겨 놓고 있다. 대구박물관에서는 지역 중심지였던 대구 달성을 비롯하여 경산, 김천, 의성, 상주 등 신라의 지방세력을 비롯하여 고령, 성주지역의 가야연맹체 세력의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전시해 놓고 있다. ‘出’자 모양의 장식을 한 금동관과 깃털모양의 금동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