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조선시대

  • 경기감영도 병풍(보물), 경기감영 옛모습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경기감영도 병풍>(보물)이다. 조선후기 경기도 감영과 주변 건물을 조감도 형태로 정밀하게 12폭의 병풍 형식으로 그린 그림이다. 가운데 경기감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돈의문(서대문), 왼쪽에는 독립문 자리에 있었던 영은문과 모화관을 볼 수 있다. 이 그림은 관아건물 뿐 아니라 작은 창고, 민간인들이 살았던 큰 기와집과 작은 초가집들, 약방이나 쌀가게, 주막 등도 표현하고 있다. 조선후기…

  • 부산 범어사 조계문(보물), 사찰 일주문

    부산시 금정구 범어사에 있는 조계문曹溪門(보물)이다. 임진왜란 이후 범어사가 중창될때 건립된 것으로 보이며, 1781년에 크게 수리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화강석을 다듬은 높은 돌기둥 위에 짧은 목재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지붕을 올려 놓았다.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으며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사찰 일주문 중에서는 건축물로서 짜임새가 있으며 조형적인 면에서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아 보물로 지정되었다. 대웅전을 중건할 때…

  • 밀양 밀양향교 대성전(보물)

    경남 밀양시 교동에 있는 <밀양향교 대성전>(보물)이다. 앞면 3칸, 옆면 2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전형적인 조선중기 향교 대성전 양식을 하고 있다. 현 건물은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02년에 중건하였으며 1820년에 다시 고쳐지었다. 건물을 다시 고쳐지을 때 옛 건물의 기둥, 익공, 창호 등을 재사용하여 옛 건축양식이 잘 남아 있다. 대성전大成殿은 향공간의 중심 건물로, 공자와 유교의 사성四聖,…

  • 밀양 밀양향교 명륜당(보물)

    경남 밀양시 교동에 있는 <밀양향교 명륜당>(보물)이다. 향교 강학공간 중심 건물로 1681년에 중건된 것이다. 건물 앞면 5칸, 옆면 2칸의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17세기 익공계 공포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가운데 3칸은 넓은 대청마루로, 양쪽에 온돌방을 두고 있다. 건물의 규모나 형태에 있어 전형적인 향교나 서원의 강당 건물의 모습을 하고 있다. 밀양향교 강학공간은 명륜당을 중심으로…

  • 밀양 밀양관아지, 옛 밀양도호부 관아 터

    경남 밀양시 내일동에 있는 <밀양관아지密陽官衙址>이다. 조선시대 밀양도호부 관아가 있었던 자리이다. 옛 기록에 따르면 밀양읍성이 축조될 당시 백여간의 관아 건물을 지었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 관아 건물들은 모두 불타버리고 광해군 때 원래의 자리에 관아 건물들을 다시 지었다고 한다. 동헌, 정청, 매죽당, 북별실, 내삼문 이외에도 연훈당, 전월당, 신당 등 부속 건물들이 있었다고 한다. 1895년 갑오개혁 때 군청으로 바뀌면서…

  • 밀양 영남루(국보), 조선시대 3대 누각

    경남 밀양시 중앙로에 있는 <밀양 영남루>(국보)이다. 조선시대 밀양부 객사에 속한 부속 건물로 밀양 시내를 관통하는 밀양강 옆 절벽 위에 자리잡고 있는 큰 누각이다. 고려 공민왕 때 사찰이 있던 이곳에 진주 촉석루를 본떠 큰 누각을 지었다고 한다. 현재의 건물은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844년에 중건한 것이다. 영남루에 올라서면 옛 영남루의 풍취와 풍류를 즐겼던 조선시대 누각을 느끼게…

  • 밀양 월연대 일원(명승)

    경남 밀양시 용평동 밀양강변에 있는 <밀양 월연대 일원>(명승)이다. 이곳은 조선 중종 때 문신 이태가 관직에서 물러나 별장 건물인 쌍경당과 월연대를 조성했던 곳이다. 밀양강과 단장천이 만나는 절벽 위에 위치하고 있다, 월연정과 쌍경당은 계곡을 사이에 두고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원래의 건물들은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며 현재의 건물들은 18~19세기에 복원되었다. 월연대 일원은 여러 건물이 어우러진 독특한 구조로, 조선 사대부의…

  • 춘천 청평사 회전문 (보물)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 청평리 청평사에 있는 <청평사 회전문>(보물)이다. 회전문廻轉門은 사찰을 수호하는 사천왕이나 금강역사를 모신 천왕문이나 금강문과는 달리 중생들에게 윤회전생을 깨우치게 하는 의미를 갖게하는 출입문으로 삼층석탑과 마찬가지로 상사뱀에 얽힌 설화와 관련되었다는 견해도 있다. 청평사는 고려 광종대(973년)에 처음 세워진 사찰로 조선중기 보우선사가 사찰을 중건하면서 청평사라 불렀다고 한다. 앞면 3칸 규모로 가운데 1칸은 통로, 양쪽 1칸씩 마루를 두고…

  • 계초심학인문(언해) 목판(보물)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계초심학인문(언해) 목판>(보물)이다. 전체 47매 가운데 현재 45매가 전하고 있다. 보조국사 지눌이 불교수행의 초보자들이 경계해야 하는 내용을 담아 서술한 책이다. 《계초심학인문》은 다양한 판본으로 출판되었는데 송광사에 전하는 <계초심학인문(언해)>은 종합적인 구성에 한자음을 달고 언해까지 첨부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보조국사 지눌이 불교수행의 초보자들이 경계해야 하는 내용을 담아 서술한 책으로, 조선시대에 이르러 언해본(한글본) 등 다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