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한옥
-
봉화 바래미마을 남호구택
경북 봉화군 봉화읍 바래미마을에 있는 고택인 <남호구택>이다. 19세기말에 지어진 큰 규모의 한옥이다. ‘ㅁ’자형 구조를 하고 있고 있다. 큰사랑, 작은사랑 등 사랑채가 발달되어 있으며, 대문채에 문간방들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손님방문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봉화 남호구택남호구택은 응방산 줄기의 낮은 야산이 뒤에 있다. 농산 김난영이 조선 고종 13년에 지었고 아들인 남호 김뢰식이 살았다. 김뢰식은 경상도의 명망 높은…
-
봉화 바래미마을 토향고택
경북 봉화군 봉화읍 바래미마을에 있는 고택인 <토향고택>이다. 안채는 조선후기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사랑채는 19세기말에 중수하였다고 한다. 안채, 사랑채, 중문채가 ‘ㅁ’자를 이루고 있는 전형적인 19세기 양반 가옥의 모습을 하고 있다. 앞면 오른쪽에는 사랑채가, 왼쪽에는 중문이 있는 중문채가 있다. 중문채 왼쪽에는 작은사랑으로 보이는 온돌방과 툇마루가 있고, 안마당에 작은 별채 건물이 있다. 오래된 건물이지만 여러차례 수리를 했던 것으로…
-
봉화 바래미마을 만회고택
경북 봉화군 봉화읍 바래미마을에 있는 고택인 <봉화 만회고택晩悔古宅>이다. 마을 안쪽에 뒷동산을 배경으로 남향해 자리하고 있다. 조선후기 문신 김건수가 살던 곳으로 사랑채인 명월루는 그가 지었다고 한다. 안채는 그의 6대조가 처음 이 마을에 들어올 때 구입했다고 한다. 안채는 조선중기 양식을 하고 있으며 사랑채와 중문채는 화려한 누마루가 있는 조선후기 사대부 저택의 모습을 하고 있다. 사랑채는 T자형 건물로 높은…
-
봉화 의양리 권진사댁
경북 봉화군 춘양면에 있는 <봉화 의양리 권진사댁>이다. 19세기말에 지어진 대지주계층이 살았던 큰 규모의 한옥이다. 건물은 안재와 사랑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는 본채와 마당 한쪽에 있는 작은 별채, 솟을대문이 있는9칸의 대문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가 있는 공간과 사랑채 마당이 담장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공간은 상당히 넓게 쓰고 있다. 대문채는 앞면 8칸 규모로 상당히 큰 편이다. 광, 문간방 등으로 구성되어…
-
봉화 한수정(보물)
경북 봉화군 춘양면 의양리에 있는 <봉화 한수정(보물)>이다. 정자 건물과 연못, 정원에 심어진 수목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 정자로서의 특징을 잘 갖추고 있다. 독특한 평면구성과 다양한 건축 구조, 공간 위계가 돋보이며, 역사적·학술적·예술적·건축적 가치가 크다. 안동권씨 가문이 3대에 걸쳐 창건한 정원으로, 기능에 맞는 최적의 입지와 관념적 의미를 담아 조성되었다. 한수정은 봉화군 춘양면소재지에 위치하고 있다. 낙동강 상류 지천인 운곡천이…
-
서울 청와대 침류각枕流閣
서울 청와대에 있는 한옥 건물인 침류각枕流閣이다. 지어진 연대에 대해 알려진 것은 없지만 20세기 초 대한제국 때 경궁 부속 전각으로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건물은 ‘ㄱ’자형으로 앞면 4칸, 옆면 2칸반 규모이다. 건물 왼쪽에 대청마루, 오른쪽에 방을 배치하고 있으며 앞쪽에 누마를 두고 있다. 원래 대통령 관저 부근에 있었는데 1989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위쪽에 작은 규모의 초가…
-
서울 청와대 오운정五雲亭
서울 청와대 뒷동산에 있는 작은 정자인 오운정五雲亭이다. 조선 후기 경복궁 후원에 있었던 정자라고 하며 1989년 청와대 본관을 지을 때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 앞면 1칸, 옆면 1칸의 정사각형 건물이다. 겹처마에 사모지붕을 하고 있으며, 사방에 사분합분이 설치되어 있다. 구한말 이후 많이 만들어졌던 작은 정자의 형태를 하고 있다. ‘오운정’이라는 현판의 글씨는 이승만 전 대통령의 글씨라 한다. 오운정五雲亭, 서울특별시…
-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보물), 성리학을 들여온 안향을 모신 사당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에 있는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보물)이다. 고려시대 성리학을 처음 들여온 안향을 주향으로 안축, 안보, 주세붕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건물 주위로 담장을 둘렀으며, 앞과 옆에 출입문을 두고 있는데 후대 서원의 사당과는 달리 작은 협문을 사용하고 있다. 최초 서원에 세워진 사당으로 ‘사(祠’자를 쓰고 있는 다른 사당과는 달리 ‘묘(廟)’자를 사용하고 있어 격이 높음을 짐작할 수 있다.…